지난 3월 13일 부산 서구 감천항 앞 해상에서 기름이 유출됐다는 신고가 해경에 접수됐다.
부산해경은 드론을 띄워 높은 고도에서 기름이 확산한 경로를 파악했고, 그 결과 최초 유출 장소를 신속히 밝혀 해양 오염에 대처할 수 있었다.
과거 주로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던 드론과 무인항공기(UAV)가 어느덧 보편화하면서 공공기관의 업무에 활용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배터리 성능, 카메라 등 드론 기능이 해마다 발전을 거듭하며 경찰·소방당국 업무에 빠져서는 안 될 존재로 부상하면서다.
각 지방자치단체 역시 드론을 활용한 새로운 행정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개발하는 모양새다.
◇ 사람 손길 안 닿는 곳까지도 '척척'
경찰은 드론순찰대·드론운영팀을 실종자 수색작업, 순찰 등 치안 활동, 테러·재난 등 다양한 상황에 투입하고 있다.
담당 경찰관들은 "해안과 산, 둘레길 등 사람이 쉽게 다가가기 힘든 곳이 많아 드론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대전경찰청은 2020년 6월부터 드론 8대를 운용해 대전·세종 지역 실종자 수색에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9월 세종시 고복저수지 실종자 수색에 투입된 드론이 3시간 만에 실종자를 발견하며 작전이 조기 종료되기도 했다.
충북경찰청은 드론 10대를 활용해 고속도로에서 지정차로 위반 등 교통단속을 하거나 실종자를 수색하고 있다.
실종사 수색 관련 연간 출동 횟수는 30회 안팎인데, 지난 10일 충북 지역 집중호우 실종자를 드론 투입 30분 만에 인근 하천에서 발견했다.
경기북부경찰청은 현재 2명의 드론 기술자를 특별 채용해 실종 사고 현장에 투입하고, 경기남부경찰청은 드론운영팀과 일선 경찰서 2곳에서 모두 6개의 드론을 통해 실종자 수색·사망자 발견에 실적을 내고 있다.
'경남도민 324만명에게 안전을 드린다'는 취지로 조직된 경남경찰청 안전드림324 드론순찰대는 치안 활동 도중 범죄 현장을 적발하기도 했다.
지난 5월 경남 의령군 둘레길 주변을 순찰하던 드론 순찰대에 의해 양귀비 추정 식물이 포착됐고, 경찰이 수사에 착수, 양귀비 30주를 불법 재배한 60대를 검거했다.
제주경찰청은 드론을 이용해 농장부터 한라산 중산간 지역까지 감시해 올해 상반기에 불법 재배 중인 양귀비 300여주를 찾아내기도 했다.
섬이 많고 드넓은 갯벌이 펼쳐진 전남 고흥군과 경찰은 지역 범죄 예방 순찰에 드론을 투입한다.
인천시는 갯벌 이용객이 많은 무의도와 영흥도에서 야간 순찰 드론을 활용해 고립자 순찰에 나서고 있다.
◇ 산불 예방에 잔불 감시까지…광범위한 지역도 해결
접근이 어려운 산악지대가 광범위하게 펼쳐져 산불 피해가 큰 강원·경북 지역에서는 드론이 산불 예방·진화 활동을 수행한다.
지상에서는 눈에 띄지 않는 곳까지 감시할 수 있고, 넓은 면적을 감시할 수 있어 인력과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어서다.
동부지방산림청은 2022년 3월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 대형산불 당시 주불 진화가 끝난 뒤에도 삼척 덕풍계곡 골짜기에서 며칠간 야간에 드론을 띄워 불씨가 되살아나는지 살폈다.
강원 동해시는 올봄부터 드론을 활용해 산림 인접지 100m 이내 지역 상공에서 산불 감시와 불법 소각행위 단속 활동을 펼쳤다.
드론으로 산불 예방 홍보 방송까지 하면서 계도 효과도 톡톡히 봤다.
울산시는 지난해 11월 전국 최초로 풍선 드론을 활용한 산불감시체계를 도입했다.
도심 산과 국가산업단지 주변 100∼300m 상공에 드론을 매단 헬륨가스 풍선을 띄워, 반경 10㎞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별도 제작된 전선으로 전력을 계속 공급할 수 있어 주 1회 헬륨가스 보충을 위한 하강을 제외하면 24시간 내내 비행 촬영이 가능하고 강풍에도 비교적 견고하다.
앞서 2022년 3월 약 13㏊를 태우고 10시간여 만에 진화된 울산 울주군 언양 산불에서도 드론 활약상이 컸다.
열화상 카메라가 탑재된 드론 2대가 산불 현장 곳곳을 날아다니며 불길이 되살아나는 정확한 지점을 감지해 진화에 도움을 줬다.
◇ 산간 지역 택배도 보내고, 살충제도 뿌리고…
충남도는 도서 지역 주민들의 택배, 디지털 갯벌 지도 제작, 사회재난 분석시스템 구축 등 다양한 행정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올해 국비 3억원을 확보한 보령시의 드론 배송 개발사업은 배편이 부족한 보령지역 섬 주민들에게 드론으로 배송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는 이미 2018년부터 보령, 당진, 서산, 태안 등 4개 시·군에 109개 드론 배달거점을 구축하는 등 배송사업 시스템 구축을 추진해오고 있다.
아울러 연말까지 드론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가로림만 갯벌 20㎢의 디지털 지도를 만들어 어장 경계관리, 해양공간 정보를 구축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산불 감시나 야생 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에 대응하기 위한 멧돼지 기피제 살포 등에 드론을 활용하고 있다.
도는 드론을 활용해 접근이 어려운 지역의 지적 경계, 건축물 위치, 토지이용현황 등을 파악하는 지적확정측량 검사에도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