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경영위기를 겪고 있는 소상공인을 위해 저금리로 대출과 이자를 지원한다.
광주시는 경제회복 3박자 정책인 '광주경제 다함께 착착착'(착한소비·착한금융·착한일자리)의 하나로 소상공인 특례보증 사업을 1700억원 규모로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착한금융' 정책인 소상공인 특례보증은 경영 위기의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실시한다.
특례보증은 우선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관광객 감소 피해를 겪고 있는 관광업계의 경영 안정을 위해 50억원을 공급한다.
고물가 상황을 반영해 최대 대출한도는 업체당 5000만원 이내이며 한도가 소진될 때까지 운영한다.
또 소상공인 특례보증 융자 지원 대상자는 유흥·도박·사행성 업종 등 일부 업종을 제외한 광주지역 소재 소기업·소상공인·자영업자 전 업종이다. 대출조건은 광주신용보증재단의 심사 및 보증을 통해 담보 없이 융자받을 수 있다.
신용점수 350점 이상의 소상공인은 최대 5000만원 한도 내에서 일시상환, 1년 거치 2년 분할 상환, 1년 거치 4년 분할 상환, 1년 거치 6년 분할 상환 중 선택해 대출 신청하면 된다. 상환 방법은 기존 2종에서 4종으로 확대해 선택의 폭을 넓혔다.
대출금리는 변동금리로 단기코픽스 +1.5~1.6% 또는 CD금리(91일) +1.5~1.6%이며, 보증수수료는 연 0.7%이다.
특례보증 희망자는 광주신용보증재단 누리집을 통해 상담 예약한 후 해당 은행 등을 방문하면 된다.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앱인 '보증드림'을 통한 비대면 보증 신청도 가능하다.
광주시는 소상공인의 금융부담 완화를 위해 58억여원을 투입해 대출 실행일로부터 1년간 대출금리의 이자 3~4%를 지원한다. 중·저신용자(신용평점 839점~350점)는 1%를 추가해 4%를 지원한다.
광주시는 특례보증 확대를 위해 최근 지역 경제주체 76개 기관·단체 등과 '광주경제 다함께 착착착' 결의대회를 열었으며 광주신용보증재단, 광주은행,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카카오뱅크 등 8곳의 금융기관과 특례보증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광주시가 41억원, 은행권이 81억원 등 총 122억원을 광주신용보증재단에 출연한다. 이를 통해 광주신용보증재단은 소상공인에 올해 상반기 1000억원, 하반기 700억원 등 총 1700억원의 보증을 제공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번 특례보증으로 꽁꽁 얼어붙은 민생경제에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