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기업들이 자사에서 퇴직한 60세 이상 고령자를 재고용한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고용 만족도도 높았다.
부산상공회의소는 60세 이상 고령자를 고용하고 있는 지역기업 152개사를 대상으로 한‘부산지역 고령인력 운영 실태 조사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24.3%가 직원의 10% 이상을 60세 이상 고령자로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미만이 63.2%로 가장 많았다.
60세 이상 고령자 채용 유형으로는 소속 퇴직자의 재고용이 응답기업의 7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재고용과 재취업 병행은 21.7%, 재취업만 활용하는 경우는 3.3%에 불과했다.
이는 동일 직장 내 동일 업무를 선호하는 고령자의 선호도와 검증된 숙련인력을 채용하고자 하는 기업의 수요가 서로 맞물린 것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재고용을 통해 기업이 맞춤형 고령 인력을 채용하다 보니 응답기업의 고용 만족도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9.02점으로 높았다.
고령자의 직종별 노동생산성에 있어서는 전문기술직 및 관련 관리직이 56.6%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는 일반 사무직(51.5%), 연구직(45.0%), 생산직·현장노무직(37.1%), 서비스영업·판매직(31.8%) 순이었다.
한편 고령인력 운용에 따른 애로 부분은 응답기업의 78.3%가 없다고 응답한 가운데 애로가 있다고 응답한 기업의 48.5%는 안전관리 부담을 꼽았다.
심재운 부산상의 경제정책본부장은 "저출산, 고령화로 지역의 생산가능인구가 줄고 있기 때문에 산업현장에서 고령인력을 활용하는 것은 불가피한 상황"이라면서 "기업마다 고용사정이 다른 만큼 자율적으로 고령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재고용 제도의 확산을 위해 실질적인 정책지원이 뒷받침 돼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