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고속철도 시대를 연 KTX가 개통 21년 만에 6억9000만㎞를 운행했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1일 KTX 개통 21년 만에 승객 11억4000만 명을 싣고 6억9000만㎞를 운행했다고 밝혔다. 이는 우리국민 한 명당 KTX를 23번 탄 셈이다. 전체 운행거리는 지구둘레 4만㎞를 1만7000바퀴를 돈 것과 비슷하다.
지난 2004년 국내 첫 고속열차 운행을 개시한 KTX는 경부와 호남선 20개 역사를 시작으로 현재 8개 노선(경부·호남·경전·전라·동해·강릉·중부내륙·중앙) 77개 역을 운행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는 중부내륙선(판교~충주~문경)과 중앙선(서울~안동~부전)이 연장 개통했으며, 노선 연장에 따라 중부내륙선과 중앙선 모두 전년대비 이용객이 두 배 가량 늘어나 수도권과 지방 간 이동편의가 높아졌다. 올 연말에는 동해선에도 KTX를 운행할 계획이다.
KTX 이용객 비중을 살펴보면 2004년 개통당시 18%에 불과하던 이용객은 해마다 증가해 2014년 42%, 지난해에는 62% 올해는 63%로 전체 철도 이용객 중 KTX의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코레일의 권역별 교통시장조사 결과를 보면 서울~부산 이동 53% 서울-광주 44%, 서울-울산 62%가 KTX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레일은 철도서비스의 진화에 따라 열차 온라인 예발매서비스 코레일톡을 기반으로 하는 코레일 MaaS(Mobility As a Service)’를 확대하고 있다.
코레일 MaaS는 누적 다운로드수 3500만회를 달성한 코레일톡에서 승차권 예매뿐 아니라 ▲길안내 ▲숙박 ▲대중교통 ▲렌터카 ▲카셰어링 ▲실시간 열차위치 안내 등 교통과 다양한 여행서비스를 하나로 묶은 혁신 플랫폼이다.
특히 코레일 Maas의 '실시간 열차위치 안내’는 국민이 뽑은 ‘2024년 최고의 철도서비스’ 1위로 선정될 정도로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이용건수는 873만회를 넘어섰다.
여기에 외국인의 이용 증가도 실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KTX를 포함한 외국인 철도 이용객은 전년보다 61% 증가한 약 554만 명에 달했다.
이는 2023년 344만 명에서 210만 명이 증가한 것으로 지난해 방한 외국인은 1637만 명으로,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3명 중 1명꼴로 열차를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차성열 코레일 여객사업본부장은 "KTX가 대표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안전하고 쾌적한 철도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