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 장관은 11일 "뿌리·제조산업 기반 소공인은 일반 소상인과는 업력·거래 방식 등에서 차이가 있는 만큼, 소공인 현장에 맞춘 단계별 지원을 강화해 성장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한 장관은 이날 전북 전주시 덕진구 늘채움에서 지역 소공인 대표 5개사와 만나 "56만 소공인은 우리 제조업의 90%를 차지하고 128만명이 종사하는 제조업·지역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한 장관의 취임 첫 전북 방문은 중소기업 분야별 정책 현장 투어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중기부는 전북 지역 소공인, 중소기업, 외국인 창업기업의 현장 목소리를 듣고 관계자들을 격려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덧붙였다.
한 장관은 신흥종합주방설비, 대신기계, 마마떼, 성원피씨엠, 현종금속 대표와 오찬을 하고 금융지원, 스마트 장비 보급 등 애로 사항을 청취했다. 구내 소공인 집적지구의 공동기반시설인 전주대장간도 찾아 레이저절단기, 3차원측정기 등 특화지원센터 운영 상황을 점검했다.
이어 중기부, 고용노동부, 전북이 전북대에서 공동 개최한 '중소기업 연구 인력 매칭데이' 현장을 방문했다. 한 장관은 '중소기업 인공지능(AI) 및 연구개발(R&D) 인력 양성 간담회'를 주재하고 중소기업 대표, 전문가 등과 지방 중소기업의 인재 확보 방안을 논의했다.
한 장관은 "매칭데이를 통해 전북지역 청년 연구자가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기회를 찾고 중소기업은 미래 성장을 이끌 동반자를 만나 서로가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했다. 또 연구 인력 신규 채용 지원 사업에서 AI 인재 채용 별도 트랙 신설, 기업 현장 직장 내 훈련(OJT)에 기반한 제조 AI 인력 양성 프로그램 도입, 지방 중소기업에 대한 연구 인력 지원 확대 등을 약속했다.
한 장관은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외국인 스타트업 대표들도 만났다. 외국인 대표들은 언어 소통의 어려움, 외국인 스타트업 맞춤형 프로그램 확충 등을 요청했다. 마지막 일정으로 전북지방중기청에서 지역 현안 업무 보고를 받았다.
한 장관은 "새 정부 국가균형성장 전략인 5극 3특 중 3특의 한 축인 전북이 지방 중소기업 성장의 견인차가 될 수 있도록 지원 기관이 노력해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