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사년 설을 앞두고 광주·전남 지역 노동자 3000여 명이 체불임금을 신고했다. 대유위니아그룹 소속 노동자들의 임금 청산이 지연되고 건설·제조업 불경기가 이어지면서 체불금액도 증가했다.
19일 광주고용노동청에 따르면, 추석 명절 직후인 지난해 9월부터 설 명절 직전인 지난해 12월까지 광주·전남을 통틀어 노동자 3144명(신고 2220건)이 임금을 제때 받지 못해 노동당국에 신고했다.
2023년 같은 기간 체불피해를 호소한 노동자 수(3119명·신고 1973건)와 엇비슷하지만 신고 건수는 한 해 만에 247건 늘었다.
체불금액도 1년 사이 부쩍 늘었지만 청산은 더디다. 지난해 같은 기간 집계된 체불금액은 311억3638만495원으로, 2023년 251억9218만3782원보다 약 23.6% 늘었다.
반면 청산규모는 108억3717만8299원으로, 2023년 같은 기간 157억6725만4259원보다 약 31.27% 줄었다.
지난해를 통틀어 2023년과 비교했을 경우에도 체불 규모가 부쩍 늘어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체불 피해를 신고한 노동자 수는 누적 9160명으로 2023년 8742명에서 418명 늘었다. 체불임금 규모도 878억818만4878원으로 2023년(631억259만7826원)보다 약 39.2% 증가했다.
체불임금 규모는 급증했지만 청산 규모가 따라잡는 속도는 더뎠다. 지난해 누적 청산 규모는 373억8624만8629원으로 2023년 334억6665만6648보다 불과 11% 늘었다.
체불 규모가 부쩍 늘어난 이유로는 지역내 건설업·제조업 불황 여파가 꼽힌다. 특히 건설업 비수기인 동절기에 하청사가 줄폐업하는 상황이 속출하면서 피해가 커지고 있다.
여기에 지난 2022년 말부터 이어져온 대유위니아그룹 소속 노동자들의 임금 체불 여파도 해결이 지지부진해 체불 규모 확대를 부채질하고 있다고 광주노동청은 보고 있다.
광주노동청은 오는 24일까지 임금 체불 집중 청산 기간을 운영하면서 체불 우려 사업장 지도에 나선다.
먼저 임금체불 피해를 누구나 쉽게 신고할 수 있도록 온라인 전용 창구를 운영한다.
또 고액 체불 사업장·다수 피해 노동자 사업장·체불 분규 사업장에는 청장 또는 근로감독관이 현장을 직접 방문해 청산을 지도한다.
경영상 어려움 등으로 체불이 발생한 경우에는 체불사업주 융자제도 등을 통해 사업주가 자발적으로 청산하도록 지원한다.
아울러 체불 사업주가 임금 청산을 위해 대지급금 지급을 청구할 경우 처리기간을 14일에서 7일로 단축해 신속 지급한다.
악의적이고 상습적인 체불 사업주는 구속수사 등 강제수사로 엄정 대응할 방침이다.
광주고용청 관계자는 "노동자들이 임금체불 걱정 없이 가족들과 함께 따뜻한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체불 예방·청산 활동에 최선을 다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