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

  • 맑음동두천 12.7℃
  • 흐림강릉 14.7℃
  • 맑음서울 15.5℃
  • 맑음대전 14.9℃
  • 맑음대구 15.6℃
  • 맑음울산 15.5℃
  • 맑음광주 16.9℃
  • 구름조금부산 16.9℃
  • 맑음고창 13.1℃
  • 맑음제주 18.3℃
  • 맑음강화 10.3℃
  • 맑음보은 11.9℃
  • 맑음금산 12.1℃
  • 맑음강진군 13.7℃
  • 맑음경주시 13.0℃
  • 맑음거제 15.7℃
기상청 제공

실시간 뉴스


경제

정부, 2035년 판매 신차 전기·수소차 70% 보급 계획 ... 업계반응은 "실현불가"

2035년 전기차 비중 70% 목표
업계 "정부 목표 실현 불가능" ... 현실 가능한 비중은 20% 안팎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2035년 판매하는 신차의 70%를 전기·수소차로 보급한다는 목표를 제시하자 완성차 업계가 난색을 표시하고 있다.

 

현재 신차 등록 대수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13%에 불과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정부의 목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완성차 업계는 정부가 무리하게 전기차 보급을 늘릴 경우 저렴한 중국산 전기차가 국내 시장을 잠식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2035년 전기·수소차 신차 등록 비중 70% 달성 등을 담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제시하면서 완성차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완성차 업계는 현재 전기·수소차 보급 확대 추이를 근거로 정부 목표치 달성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실제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올 1~10월 신차 등록 대수(139만9145대)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13.6%(19만522대) 수준이다.

 

이 기간 판매량을 기준으로 단순 계산 시 전기차 신차 등록 비중을 70%까지 확대하려면 약 98만대를 판매해야 가능하다.

 

이는 같은 기간 휘발유(62만6562대)와 하이브리드(37만2416대)의 신차 등록 대수를 합한 것과 맞먹는 규모다.

 

즉 2035년에는 휘발유, 하이브리드 차량 대부분을 전기차로 대체해야 정부 목표치 달성이 가능하다는 추산이다.

 

완성차 업계는 전기차 보급 추이, 보조금 예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경우 2035년 전기·수소차 신차 등록 비중은 19.7%에서 23.2% 정도가 현실적이라고 주장한다.

 

특히 완성차 업계는 정부의 무리한 전기차 확대 정책으로 중국산 전기차가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고 우려한다. 전기차 수요 확대를 위한 지원책 없이 보급 대수만 늘리면, 저렴한 중국산 전기차가 시장을 잠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국내 생산 전기차에 대한 세제·보조금 인센티브 확대 등 지원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논리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분야 선진국인 유럽연합 내에서도 전기차 확대에 대한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국내의 전기차 보조금 규모 등 정책 환경을 고려하면 정부의 전기차 목표도 현실적인 수준으로 조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