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지역 소상공인의 경영 체감 지표가 전반적으로 크게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가 16일 제공한 최근 광주·전남지역 소기업·소상공인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광주·전남지역 소기업·소상공인 경영환경 애로 조사’ 결과, 경기침체와 고금리 장기화로 경영 부담이 지속되면서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정책 지원이 더욱 절실한 상황으로 분석됐다.
조사에 따르면 광주·전남 소기업·소상공인 10명 중 6명(59%)은 전년 대비 경영 상황이 '악화됐다'고 답했다. '호전됐다'는 응답은 9%에 그쳤다.
경영 악화를 부른 가장 큰 요인은 ▲내수 부진(71.2%)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어 ▲판로·매출 부진(36.2%) ▲물가·최저임금 등 인건비 상승(20.3%) 순을 꼽혔다.
자금 사정이 '나쁨'이라는 응답도 50.7%에 달했다. 주요 자금 조달 방식으로는 '금융권 대출'이 39.3%로 가장 많았고, 정책자금 활용은 23.7%였다.
자금 조달 과정에서 가장 큰 어려움은 '높은 대출 금리에 따른 이자 부담'(54.3%)이었으며, '대출 조건 충족의 어려움'(29.0%), '정책자금 절차 복잡'(26.7%) 등 행정적 부담도 높게 나타났다.
정부·지자체 소상공인 정책을 이용한 경험은 52.3%로 절반을 조금 넘었으나 이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정보 접근성 부족(44.8%) ▲정책 실효성 부족(32.9%) ▲절차·요건 장벽(25.2%) 등을 지적했다.
소상공인을 위해 우선 강화해야 할 정책으로는 '내수 활성화·소비 촉진'(36.7%)과 '금융·대출 지원 강화’(33.7%)'가 전체 응답의 70% 이상을 차지했다.
가장 필요한 지원 형태로는 '직접 자금 지원'이 55.7%로 꼽혀 금융 부담 완화에 대한 현장의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조동석 중기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장은 "지역 경제의 허리인 소상공인들이 고금리와 내수 한파를 견딜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현장의 목소리에 기반해 실질적 경영 안정에 기여하는 제도 개선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동석 중기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장은 "지역 경제의 허리인 소상공인들이 고금리와 내수 한파를 견딜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현장의 목소리에 기반해 실질적 경영 안정에 기여하는 제도 개선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