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콘운송노동조합 전남서부지부는 제조사와의 운송료 정상화 협상 결렬을 이유로 오는 25일부터 목포시청 정문 앞에서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6월부터 운송비 인상을 두고 갈등을 벌였던 레미콘 업계와 한국노총 레미콘운송노동조합 전남서부지부 간 협상의 타결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서부지부에 따르면, 운송료 인상을 두고 그동안 제조사와 수차례 협상을 이어 왔으나 노조가 제시한 금액 자체를 부정하고 동결을 주장하고 있는 업계의 태도에 노조는 오는 11월 25일 집단 시위에 돌입하기로 임시총회를 열어 결정했다.
해마다 임금과 운송료 단가 협상으로 한바탕 진통을 겪는 레미콘 업계는 사용자(제조사)와 노조 간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협상이 결렬되면 파업으로 이어져 건설업계는 직격탄을 맞는 등 지역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같은 임단협 파행은 매년 같은 패턴의 갈등이 고질적으로 반복되면서 제조사와는 달리 상대적 약자인 영세한 노조원의 경우 파업에 따른 운송료 지급 중단이 이들의 생계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노조가 집회를 여는 주요 쟁점은 운송료 인상이다.
노조가 제시한 운송료는 회차 당 2,000 원 인상(작년 대비 인상 폭은 2 %)과 그 적용 시기는 회사별 소급을 원칙으로 삼았다.
제조사 측은 운송료 동결이라는 극단적 입장을 취하고 있어 협상 난항이 예상되며, 노조 측 집행부와 제조사 측은 파업 중에도 협상의 창구는 계속 열어 놓고 있지만, 타결까지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협상 교착 상태가 지속되면 건설업계 역시 난항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건설사들은 레미콘사와 개별 협상을 진행해야 하는 등 상황이 녹록치 않을 전망이며, 이는 중소 건설사의 경쟁력 저하와 전반적인 공사비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협상 지연이 계속될 경우 공정 중단등의 문제에 봉착 할 수 있다”며“이는 단순히 공사비 증가뿐 아니라 시공 일정에도 악영향을 미쳐 시장 전반에 부정적인 파급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지자체의 개입 가능성도 높아졌다.
목포시 관계자는“ 이번 협상 결렬로 수급 불안정이 초래 될 경우 양측의 입장을 충분히 청취해 중재안을 제시하는 등 빠른 타결을 위한 수급협의회를 소집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노조는 레미콘 제조사나 사용자 단체가 단체협상에 성실히 임할 것을 촉구하며, 인상안을 계속 거부 시 파업을 이어 나갈 방침이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