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일환 박사의 역사야톡 - 3화 ◆유학특집5. 주나라 초대 무왕 주무왕(周武王)은 주나라를 건국한 1대 군주로 이름은 희발(姬發)이다 아버지는 주문왕 희창(姬昌)이고 어머니는 하나라 출신 태사이다. 주무왕은 백읍 고(伯邑 考)의 동생이자 주공 단(周公 旦)의 형이다. 주문왕 희창(姬昌)은 주왕(紂王)을 알현하고 선정을 베풀기를 요구하다가 유폐됐다 장남 백읍고는 유폐된 아버지를 구하려다가 오히려 주왕에 의해 능지처참을 당했고 시체는 고기전병(肉餠)으로 만들어져 주문왕 희창에게 보내졌다. 주무왕(周武王) 희발(姬發)은 형 백읍 고(伯邑 考)가 살해되자 형을 대신하여 주무왕으로 즉위했다. 주문왕 희창(姬昌)은 아들 주무왕에게 은나라 주왕을 정벌하라는 유언을 남겼다. 주무왕은 강태공을 재상으로 기용하고 맹진에서 제후 800여 명을 규합하여 은나라를 공격했다 은나라의 주왕은 궁궐을 불태우고 자결했다. 주무왕은 역성혁명으로 즉위 2년 만에 사망하자 아들 주성왕(周成王) 희송(姬誦)이 즉위했다. 주무왕이 사망하고 주성왕이 즉위하여 무왕의 동생 주공 단이 섭정하자 주왕의 아들 무경(武庚)이 관숙(管叔) 희선(姬鮮) 채숙(蔡叔) 곽숙(霍叔) 등과 더불어 삼감(三監)의 난(亂
서일환 박사의 역사야톡 - 2화 ◆유학특집3. 하나라 초대 우왕과 마지막 걸왕 하(夏) 나라는 중국인들이 기원전 2070년부터 기원전 1600년까지 470년 동안 존재한 전설상의 왕조이자 최초의 세습 왕조이다. 역사적으로 실존한 나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17대 걸왕 때 은나라 탕왕에 의해 멸망했다. 우(禹)는 오제(五帝)의 첫 번째 왕인 황제(黃帝)의 고손자자 오제(五帝)의 두 번째 왕인 전욱(顓頊)의 손자이며 곤(鯀)의 아들이다. 순(舜) 임금은 황하가 범람하자 요(堯) 임금 때 수치에 실패하여 처형된 곤(鯀)의 아들 우(禹)가 치수를 명령했다. 우(禹)는 도산씨(塗山氏)의 딸과 혼인한 지 4일 만에 집을 떠나 아들 계(啓)를 낳는 것을 보지도 못했다. 13년 동안 가족도 가장도 돌보지 않고 치수에 열중하여 불신불수가 되었으나 치수사업에 성공했다. 우(禹)는 치수에 성공하여 순(舜) 임금으로부터 선양(禪讓)을 받아 하(夏) 나라를 건국했다. 우(禹)의 뒤를 이어 아들 계(啓)가 제위에 올라 최초의 통일 왕조가 되었다. 우(禹)의 손자이자 계(啓)의 아들인 태강왕(太康王)이 대를 이었다. 17대 걸왕은 15대 고왕의 손자이자 16대 발왕의 아들이며 하(
서일환 박사의 역사야톡 소개문 저자 서일환(언론학 박사)이 카카오스토리에 매일 밤 펼쳐놓은 역사이야기를 담은 대중적인 역사서이다. 저자는 2012년 5월15일부터 매일 밤 8시에 하루도 빼지 않고 카카오스토리에 역사의 금기를 뛰어 넘는 역린의 이야기를 올리고 있다. 우리 역사를 비롯하여 중대한 교훈을 남겨주었던 사람, 사건, 장소, 건물 등을 흥미롭게 풀어내는 내용이다. 그간에 올렸던 수많은 원고들을 책으로 엮어 2012년부터 2022년까지 11년에 동안 『서일환의 역사 야夜 톡talk』 9권까지 발간하였으며, 서일환의 역사이야기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서일환 박사가 이 일에 나서게 된 것은 무엇보다 단재 신채호 선생이 남긴 교훈 때문이다. “단재는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는 말을 가슴 깊이 새기고 살았다”며 서일환은 “아픈 역사의 수레를 끌며 역사로부터 교훈을 찾기 위해 글을 쓰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물론 이 책이 정사를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정사에서 비켜서거나 그 뒤안길만을 다루고 있는 건 아니다. 교과서적인 정론이 아닌 해학과 꼬집기, 비틀기 등을 통해서 평범한 시민의 입장에서 역사의 교훈을 찾고 있다. 그리고 상세한 역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