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자치도 익산시가 출산 친화 도시 정책을 본격화하면서 출산율이 반등하기 시작했다.
이진윤 시 보건소장은 3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임신-출산-양육 패키지를 통해 도내 최대 수준의 복지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면서 "이 결과 지난 8월말까지 합계 출산율은 720명으로 지난해 657명에 비해 9.7%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국 평균 상승률(4.1%)과 전북 평균(3.8%)을 상회하는 수치로, 익산형 출산·양육 지원 정책이 실효성을 보고 있다는 평가다.
익산시는 출산율 증가를 지방소멸 극복의 핵심 지표로 삼고, 체감도 높은 정책을 중심으로 시민 만족도를 끌어올리고 있다.
'임산부 280 건강관리비 지원사업'은 2010년부터 시행 중인 사업으로, 임신 1회당 40만원을 지원한다. 올해에는 785명이 이 혜택을 받게 된다.
또 '산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출산 후 1년 이내의 산모가 지정 요양 기관에서 치료를 받을 경우 최대 20만 원을 지원하는 제도다. 2019년부터 시작해 현재까지 3897명의 산모가 혜택을 받았다.
이와 함께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확대사업'은 건강관리사를 출산 가정에 파견해 산모 회복과 신생아 돌봄을 지원하며, 본인 부담금의 90%를 시에서 지원하고 있다.
영유아를 위한 육아 필수재 지원은 익산시만의 특화된 정책이다.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사업'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의 만 2세 미만 영아를 대상으로 기저귀와 조제분유를 지원하며, 현재 460명의 아동이 혜택을 받고 있다.
이 사업은 도내에서 익산, 전주, 임실 3개 시군만 운영 중이며, 익산시의 예산 규모는 4억9600만원으로 도내 최대다.
시는 앞으로도 임신, 출산, 양육 전반에 걸쳐 실질적이고 체감 가능한 정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진윤 보건소장은 "청년 세대가 결혼, 임신, 출산, 양육을 행복한 선택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가 든든한 지원군이 되겠다"며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익산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