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맑음동두천 21.8℃
  • 맑음강릉 22.4℃
  • 맑음서울 23.4℃
  • 맑음대전 23.0℃
  • 맑음대구 23.2℃
  • 맑음울산 19.2℃
  • 구름조금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1.4℃
  • 구름조금고창 20.2℃
  • 흐림제주 21.9℃
  • 맑음강화 21.4℃
  • 맑음보은 19.3℃
  • 맑음금산 20.7℃
  • 구름많음강진군 18.8℃
  • 맑음경주시 19.7℃
  • 구름조금거제 18.2℃
기상청 제공

실시간 뉴스


서일환 박사의 역사야톡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김부식이 편찬한 국보 322-1호, 제322-2호 및 보물 제722호 삼국사기는
일연이 편찬한 제306-1호, 제306-2호, 제306-3호 삼국유사와 더불어 한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역사서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감수국사 김부식을 필두로 참고(參考) 8명(최산보, 이온문, 허홍재, 서안정, 박동계, 이황중, 최우보, 김영온)과 관구(管句) 2명(김충효, 정습명)이다. 김부식이 편찬의 주역으로 10명의 편수관들 가운데 상당수는 대간(臺諫) 출신들이 많고, 김부식도 대간 계통의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삼국사기는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으로 사회가 동요하자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고려 인종의 명으로 김부식이 1145년(인종 23년) 완성했으며, 1174년에 송나라에 진상되기도 했다.


삼국사기는 기전체로 〈본기(本紀)〉, 〈연표(年表)〉, 〈지(志)〉, 〈열전(列傳)〉으로 구성되었으며, 신라, 고구려, 백제 삼국의 흥망성쇠의 정사를 기술한 역사서이다. 
 
삼국사기는 유교적 사대주의 관점에서 중국을 중심에 두고 서술했다. 신라 위주로 기술하여 백제의 기록은 의도적으로 축소하고 누락했다. 고조선, 동예, 옥저, 부여, 삼한, 가야, 발해 등의 역사가 빠져 있어 신라계 문벌 귀족의 신라 계승 의식 표출이라고 보는 비판도 있다.
 
김부식은 과거를 통해 출사하여 이자겸이 제거되자 묘청, 정지상, 백지상 등 서경파들의 반란을 진압하고 정권을 잡았다. 삼국사기 편찬을 지휘하고 77세에 사망했다. 무신정변이 일어나자 정중부에 의해 부관참시됐다.

 

진삼국사표
왕명을 받은 김부식은 1145년 《삼국사기》의 편찬을 완수하고 인종에게 표(表)를 올렸는데, 이 글의 내용은 이러하다.

 

「신(臣) 김부식(金富軾)이 아뢰옵니다.
옛 열국도 또한 각각 사관(史官)을 두어 일을 기록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맹자(孟子)는
“진(晉)나라의 『승(乘)』과 초(楚)나라의 『도올(檮杌)』과 노(魯)나라의 『춘추(春秋)』는 같은 것이다.” 라고 말하였습니다.


우리들 해동(海東) 삼국도 역사가 오래되었으니, 사실이 역사책에 기록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노신(老臣)에게 그것을 편집하도록 명하신 것인데,
스스로 돌아보니 지식이 부족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겠습니다.

 

엎드려 생각해보옵니다.
성상폐하(聖上陛下, 고려 인종)께서는 요(堯)임금과 같은 문사(文思)를 타고나시고,
우(禹)임금과 같은 근검(勤儉)을 체득하시어, 정무에 골몰하던 여가에 전고(前古)를 두루 살펴보시고,

“요즈음의 학사(學士)와 대부(大夫) 중에 『오경(五經)』, 『제자(諸子)』와 같은 책이나
진(秦)ㆍ한(漢) 역대의 역사에 대해서는 두루 통달하고 상세히 설명하는 자가 간혹 있으나,
우리나라의 일에 대해서는 도리어 아득하여 그 처음과 끝을 알지 못하니 참으로 한탄스럽다.” 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물며 생각건대, 신라ㆍ고구려ㆍ백제가 나라를 세우고 솥발처럼 대립하면서 예를 갖추어 중국과 교통하였으므로, 범엽(范曄)의 『한서(漢書)』나 송기(宋祁)의 『당서(唐書)』에는 모두 열전(列傳)을 두었는데,
중국의 일만을 자세히 기록하고 외국의 일은 간략히 하여 갖추어 싣지 않았습니다.


또한 그 고기(古記)라는 것은 글이 거칠고 졸렬하며 사적(事跡)이 누락되어 있어서,
임금된 이의 선함과 악함, 신하된 이의 충성과 사특함, 나라의 평안과 위기,
백성들의 다스려짐과 혼란스러움 등을 모두 드러내어 경계로 삼도록 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재주와 학문과 식견을 갖춘 인재를 얻어 일가(一家)의 역사를 이루어서
만세(萬世)에 이르도록 해와 별처럼 빛나게 해야 마땅할 것입니다.


그러나 저라는 사람은 본래 재주가 뛰어나지도 않고, 또한 학식이 깊은 것도 아니었는데,
늙어서는 날이 갈수록 정신이 흐릿해져서 부지런히 글을 읽어도 책을 덮으면 곧바로 잊어버리고, 붓을 잡으면 힘이 없어서 종이에 대고 써 내려가기가 어렵습니다.


저의 학술의 둔하고 얕음이 이와 같으며, 예전의 말과 일에 대해 어두움이 이와 같사옵니다.
이런 까닭으로 혼신의 힘을 다하여 겨우 책을 완성하였지만 볼만한 것이 되지 못하였으니,
그저 저 자신이 부끄러울 따름입니다.

 

엎드려 바라옵나니, 성상 폐하께서는 소홀하고 거친 솜씨를 이해해주시고 멋대로 지은 죄를 용서하시며, 비록 명산(名山)에 보관하기엔 부족하더라도 간장 단지를 덮는데 쓰이지는 않았으면 하옵니다.
저의 구구하고 망령된 뜻을 하늘과 해님께서 굽어 살펴주소서.

 

삼가 본기(本紀) 28권, 연표(年表) 3권, 지(志) 9권, 열전(列傳) 10권을 찬술하고,
표(表)와 함께 아뢰어 임금님의 눈을 더럽힙니다.」

 진삼국사표 [進三國史表], 김부식(金富軾) 지음 

 

 

삼국유사는 1281년(고려 충렬왕 7년) 스님 일연이 군위의 인각사(麟角寺)에서 완성했다. 편년체로 고조선부터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후삼국까지 고대 국가의 흥망의 유사를 모은 야사를 기술한 역사서이다. 원판(原版)은 전하지 않으며 조선조 이후의 것이다. 2003년에 조선 초기의 간행본과 중종 임신본이 각각 대한민국의 국보 제306호와 제306-2호로 지정되었다.
 
삼국유사는 자주성을 고취시키고자 불교적인 세계관으로 초월적이고 종교적인 입장을 견지한 야사를 기록했다. 단군 신화와 설화를 비롯하여 이두로 쓰인 향가 14수 등 방대한 구비문학 자료들이 기록됐다. 전체 5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5권 내에 다시 9편으로 나뉘어 있다. 권수는 편목의 유형에 따라 구분한 것이 아니라 분량에 따라 편의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제일(第一)이 붙어 있는 것이 왕력과 기이 두 편이라고 한다.

 

삼국사기가 정사(正史)라면 삼국유사는 야사(野史)에 해당하는데, 이는 일연이 삼국사기를 ‘정사’라고 인정하면서 삼국사기에 실리지 못한 고조선, 삼한, 가야, 부여 등의 기록과 수많은 불교설화 및 향가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내용별로 편목을 나누어 옛 이야기를 기술한 개인의 저술인 삼국유사는 삼국사기와 비교하기 적당하지 않다.
 
일연은 경상도 경산 출신으로 전라도 광주의 무량사에서 출가했다. 속명은 전견명이다. 운문사 주지를 역임했고, 삼국유사를 저술했다. 팔만대장경 남해분사도감에 참여했고, 충렬왕 때 보각국사로 추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