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뉴스 정길훈 기자 | 김희정 박사 부부클리닉 제3탄 “대화 소통의 기술” <기 고 문> 아름다운 동행 상담센터 김희정 소장 [아름다운 동행 상담센터 김희정 박사 / 소장] 아내는 남편을 만나 알게 된지는 한 5, 6년 되었다. 먼 거리를 마다하고 연애 감정을 키워오다 결혼한지는 1년이 되었다. 남편과 동거 포함 횟수로는 약 3년 정도 되었고, 실제 부부처럼 결혼 생활했다고 할 수 있는 것은 1.5년이다. 차이가 나는 이유는 현재까지도 직장 문제로 각자 떨어져 생활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내는 지방에서 친정어머니를 도와 자영업을 하고 있다. 2주에 한 번씩 남편 홀로 살고 있는 신혼집인 서울로 와서 2주 정도 머물다 다시 지방으로 내려가는 라이프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 신혼집에서 남편과 생활할 때 아내가 느끼는 감정이 문제였다. 아내의 표현을 빌리자면 이러하였다. 「남편과 아내는 바다로 향하였다. 항해사의 역할을 남편에게 맡기고 바다에 배를 띄워 가는데 항해사로서의 기본을 남편이 모르는 것 같다는 것이다. 아내는 남편이 항해사이기에 바다에 대하여 알고 있어야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태풍불면 어떻게 하여야 하는지? 어느 방향으로
(잊혀진 애국지사) 대통령 박은식과 부통령 이시영 ●잊혀진 애국지사 대통령 박은식 박은식(朴殷植)은 황해도 황주군 남면에서 서당 훈장을 하던 박용호의 아들로 태어났다. 안중근의 아버지 안태훈과 교유하며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했다. 향시에 합격하여 기자조선의 시조인 기자를 모신 사당인 숭인전 능참봉으로 재직했다. 박은식은 불혹의 나이가 되자 주자학에 의구심을 갖고 신학문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독립협회에 가입했다. 독립협회는 독립신문을 창간하여 청나라로부터 독립을 기념해 영은문을 헐고 독립문을 세웠다. 하지만 독립신문은 이토 히로부미를 찬양했다. 박은식은 장지연 신채호 남궁억 등과 황성신문을 인수하여 장지연과 공동 주필이 되어 애국적인 사설을 썼다. 황성신문은 을사조약에 대한 장지연의 항일 사설 ‘시일야방성대곡’을 실어 정간당했고 이듬해 복간되었고 한일합방 조약으로 폐간되었다. 대동교(大同敎)를 창건하고 신한혁명당(新韓革命黨)을 조직하여 항일활동을 전개하였다. 박은식은 영국인 어니스트가 창간하여 조선 통감부의 검열을 받지 않은 대한매일신보의 주필이 되어 국채보상운동을 주도했다. 대한매일신보는 한일합방 조약 이후 조선총독부의 기관지 매일신보(每日申報)로 전환됐다. 해
중소벤처뉴스 류권승 기자 UN에 일본 후쿠시마 핵 오염수 해양 투기 반대에 대한 민국 염원을 담아 보내자 -UN에 일본 후쿠시마 핵 오염수 해양 투기 반대 진정서 접수하기 -대한민국 5천만 국민이면 누구나 ......... 일본 정부는 24일 기점으로 후쿠시마 핵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를 시작하였다. 바다는 지구의 한 국가의 소유물이 아닌 전 세계인들의 자산이며, 공동의 재산이다. 그러나 이런 소중한 바다를 자신의 자산인 것처럼 바다에 핵 오염수를 무단 투기하는 국가가 있다. ◆바로 일본이라는 나라이다..... 그들은 후쿠시마 핵 오염수를 방류하기 위하여 IAEA에 많은 기부금을 내고 IAEA는 이 것에 화답하기 위해 후쿠시마 핵 오염수가 안전하다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발표를 하였다. 그리고 대한민국 윤석열 정부와 여당은 이 자료를 가지고 핵 오염수 방류는 정당하다고 하여 핵 오염수 방류를 묵인하고 있다. 그러나 핵 오염수 방류로 인하여 앞으로 어떤 상황이 발생 할 줄은 아무도 알지 못한 일드을 생각하면 앞이 캄캄하다. 길게는 수십년에 걸쳐 이루어지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결과가 후쿠시마 핵 오염수로 인한 결과인지 아닌지 애매한 결과를 만들어서 일본은 핵
중소벤처뉴스 신병철 기자 | <기고문>전진숙 빛고을비전창작소 이사장 "윤석열 정부 매국행위”라 강하게 비판하였다. 전진숙 빛고을비전창작소 이사장은 후쿠시마 핵 오염수 방류 사태에 대해 윤석열 정부를 "매국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하였다. [빛고을비전창작소 전진숙 이사장] 이번 "후쿠시마 핵 오염수 방류 행위로 인하여 대한민국 800만자영업자 다 죽는다. 정부는 지원대책 당장 마련해야한다라고 매우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일본의 후쿠시마 핵 오염수 방류로 수산업계와 자영업자들의 피해가 현실화하였다며, 전진숙 빛고을비전창작소 이사장은 “이번 핵 오염수 방류 사태는 윤석열 정부가 국민을 버리고 일본과 손잡은 매국적인 행위”라고 규탄한다고 하면서 정부가 누구를 위하는 정부인지 모르겠다고 하였다. 우리 국민을 위한 정부라면 이번 사태를 동조하는 것자체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코로나19로 인하여 건국이래 최악의 상황을 3년이라 세월을 버티고, 살아 있음에 감사해야 할 정부가 자국민을 적극적으로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는 정부가 자국민을 보호하지도 않음에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강하게 비판하였다. 전진숙 이사장은 “일본 기시다 정부가 한,미,일 정상회담 이후 한국
한국 다도를 정립한 다성(茶聖), 초의선사 장의순 장의순은 1786년 전남 무안군 삼향면 왕산리에서 태어났다. 15세에 나주 운흥사에서 출가해 19세에 해남 대흥사에서 승려가 되었다. 대흥사 뒷산에 일지암(一枝庵)을 짓고 40년 동안 차와 더불어 살다가 1866년 81세로 입적했다. 장의순은 대흥사 완호(玩虎) 스님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받아 법호 초의(草衣)와 법명 의순(意恂)을 받았다. 서산대사는 ‘선(禪)은 부처님의 마음이요, 교(敎)는 부처님의 말씀이다.’고 하며 조선 중기에 불교의 중흥을 이끌었다. 초의선사는 ‘깨달으면 교(敎)가 선(禪)이 되고 미흡(未洽)하면 선(禪)이 교(敎)가 된다.’고 하며 조선 후기에 불교의 선풍을 일으켰다. 다도(茶道)는 중국의 육우(陸羽)가 8세기 중엽에 지은 ‘다경’에서 비롯되었다. 불교와 함께 다도가 신라와 일본에 전해졌다. 고려시대에는 사찰과 귀족 중심으로 번성했다가 조선의 억불숭유 정책으로 쇠퇴하여 명맥만 유지되었다. 19세기 초에 초의선사가 다도의 이론과 실제를 ‘동다송(東茶頌)’으로 정리함으로써 명맥만 유지하던 우리 다도를 중흥시켰다. 이는 초의선사를 다성(茶聖)으로 추앙하는 계기가 되었다. 초의선사는 ‘만들
(잊혀진 애국지사) 순국열사 홍범식과 의열단 김시현 순국열사 홍범식 홍범식(洪範植)은 정2품 이조판서를 역임한 홍우길의 손자이며 정2품 중추원 참의를 역임한 홍승목의 아들이다. 과거에 급제하여 진사를 시작으로 내부주사와 혜민서참서를 역임했다. 태인군수로 재직 중에 정미의병이 일어나자 의병 보호책을 펼쳤다. 1907년 대한제국과 일본제국 사이에 불평등 조약인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이 체결되어 대한제국은 일본제국의 보호령으로 전락했다. 한일신협약은 정미 7늑약(丁未 七勒約), 3차 한일협약(三次 韓日協約) 이라 부른다. 고종 황제는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2회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를 파견하여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폭로했다. 일제는 특사 파견을 빌미로 한일신협약을 체결하고 고종 황제를 강제로 퇴위시키고 대한제국 군대를 강제로 해산시켰다. 대한제국 군인 제1대대장 박승환이 자결을 시작으로 전국에서 정미의병이 일어났다. 이인영과 허위를 중심으로 13도 창의군을 편성하여 서울 진공 작전을 펼쳤으나 실패했다. 일제는 남한대토벌작전으로 의병 소탕 작전을 자행했다. "기울어진 국운을 바로 잡기엔 내 힘이 무력하기 그지없고 망국노의 수치와 설움을 감추려니 비분을 금할 수 없어
세월을 함께한 친구 인생의 황혼기에 접어든 노인에게 질병만큼 무서운 것이 바로 외로움이라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나이를 먹어갈수록 옛 친구들의 근황이 궁금하고 만나고 싶습니다. 앞만 보고 달려왔던 바쁜 인생의 걸음을 잠시 멈추고, 그때 그 친구들의 목소리를 듣고 싶어 합니다. 정작 만나면 별 할 말도 없을 텐데도 서로 어떻게 나이를 먹고 살아왔는지 보고 싶은 것입니다. 우연히 어린 시절 함께 했던 친구들을 만난 노인은, 그 친구들과의 기억이라고 해봐야 몇 개 없을 터인데 몇 번이고 반복하며 엊그제 일처럼 수다를 떨며 정겨워합니다. 점심시간 되기 전에 도시락을 까먹다가 선생님께 혼난 일부터 여름철 발가벗고 함께 냇가에서 놀았던 이야기까지, 스스럼없이 나눌 때는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행복하기까지 합니다. 노년에 필요한 다섯 가지가 가족, 친구, 취미, 돈 그리고 건강이라고 합니다. 다 가질 수 없겠지만, 전화해서 서로의 안부를 묻고 가끔 만나 옛이야기를 편하게 할 수 있는 친구가 있다면 얼마나 든든할까요. 親 친할 친, 舊 옛 구. 옛날부터 오랫동안 친하게 지낸 사람이 바로 친구입니다. 그래서 나이 들면서 동료나 동지는 만들 수 있어도 친구가 생기기
송조 6현과 해동18현 송조 6현 조광윤이 카이펑을 도읍으로 송나라를 건국하여 당나라가 멸망 이후 화남의 5개 왕조와 화북의 10개 정권이 난립하던 5대10국 시대의 혼란을 통일했다. 송나라는 요나라, 금나라, 서하의 침략을 받았고 원나라에 의해서 멸망했다. 송나라는 여진족 금나라가 침략하자 휘종이 아들 흠종에게 황위를 양위하고 영토할양과 배상금 지급 등 협상을 진행했다, 송나라의 흠종의 굴욕적인 협상에 주전론(主戰論) 자들이 반발하자 금나라가 총공세를 펼쳤다. 송나라는 수도 카이펑이 함락되고 태상황 휘종과 황제 흠종을 포로로 끌려가는 정강의 변(靖康之變)을 당했다. 태상황 휘종의 아홉째 아들이자 황제 흠종의 동생인 조구(趙構)가 임안(臨安)에서 송나라를 재건했다. 송나라는 카이펑이 수도일 때를 북송(北宋)이라 하고 임안이 수도일 때를 남송(南宋)이라 한다. 송조6현(宋朝六賢)은 중국 송나라 때 주돈이, 소옹, 장재, 정호, 정이, 주희 등 6인의 유학자를 지칭한다. 주돈이(周敦頤)는 북송의 유학자로 기존의 유교를 도가의 자연주의 사상, 불교의 심성철학과 융합하여 도학(道學)을 정립했다. 복건성(福建省)에서 정호와 정이 형제의 스승이 되었다. 연꽃을 찬사하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일본땅에 보관하는 것이 타당하다. 간토 지방은 도쿄도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지바현 가나가와현 등 1도 6현을 말한다. 긴키 지방은 교토부 오사카부의 2부와 시가현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미에현의 5현을 말한다. 간토 지방과 긴키 지방은 일본의 중심을 이룬다. 도호쿠 지방은 혼슈 동북에 있는 지방으로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후쿠시마현 등 6현을 말한다. 도호쿠 지방과 홋카이도 지방을 북일본이라고 한다. 세이칸터널과 신칸센터널을 통해 혼슈와 홋카이도가 연결됐다. 도호쿠 지방 북부의 기타토호쿠(北東北)는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아키타현의 3현을 말한다. 도호쿠 지방 남부의 미나미토호(南東北)는 미야기현 야마가타현 후쿠시마현의 3현을 말한다. 후쿠시마현은 도호쿠 지방 남쪽의 태평양에 면한 현으로 현청 소재지는 후쿠시마시이다. 평야가 많고 땅이 비옥해서 전통적으로 인구가 많은 지역이며 지진이 가장 잦은 지역이다.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를 유치하여 재앙이 되었다.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는 1966년 착공하여 1971년 운행했다. 후쿠시마 제2원자력 발전소는 제1원자력 발전소에서 11.5km 떨어진 곳에 1
문묘종사와 유교(儒敎) 문묘(文廟) 종사(從事) 신라 31대 신문왕은 나당전쟁으로 피폐해진 혼란을 정비하고 고등교육 기관인 국학(國學)을 설치했다. 김수충(金守忠)이 당나라에서 가져온 공자(孔子) 공문10철 72제자의 화상(畫像)을 국학에 안치했다. 김수충은 신라의 33대 성덕왕의 아들로 견당유학생(遣唐留學生) 자격으로 당나라에 파견되어 3년 동안 머물면서 국학(國學)에 입학하여 유학을 수학했다. 당현종이 김수충을 총애하여 조당(朝堂)에서 연회까지 베풀어 주었다. 고려의 국자감(國子監)은 고구려의 태학(太學)과 신라의 국학(國學)을 계승한 고등교육 기관이다. 충렬왕 때 원나라의 간섭으로 국학으로 개칭됐다. 충선왕 때 성균감(成均監)에 이어 성균관(成均館)으로 격상했다. 조선이 건국되자 개경에서 한양으로 천도하고 성균관도 개성에서 한양으로 옮겨졌다. 성균관은 생원시 진사시 등 소과에 합격한 생도들이 입학하여 대과를 준비했다. 성균관은 유교적 소양을 갖춘 관료를 양성하여 왕조체제 유지에 기여했다. 문묘(文廟)는 문묘(文廟)란 글월 문(文)과 사당 묘(廟)라는 의미이며 공자의 위패를 모신 전각이다. 문선왕묘(文宣王廟)의 약칭으로 공자묘(孔子廟)라고도 부른다 중앙에
신숙주, 배신자와 킹메이커 사이에서 극단적인 평가 받아 범웅 ‘신숙주’는 전남 나주 노안에서 출생했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초시와 복시에 장원을 하였고 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에서 벼슬을 시작했다. 평소에 책읽기를 좋아하여 새벽까지 공부하다가 잠이 들었는데 세종이 지나가다 어의를 벗어 덮어주었다고 전한다. 신숙주는 중국어, 일본어, 몽골어, 여진어, 위구르어, 아랍어, 오키나아어, 이두 등 8개 국어에 능통하여 왜국에 서장관으로 다녀왔다. 정인지, 성삼문, 박팽년 등과 함께 훈민정음 창제자에 앞장섰고 훈민정음 해례본을 편찬했다. 세종은 신숙주, 성삼문, 박팽년 등에게 왕세자 ‘문종’과 왕세손 ‘단종’의 앞날을 부탁한다는 유언을 남기고 승하했다. 신숙주는 문종이 즉위하자 양녕대군을 탄핵했고, 직제학과 부제학이 되었고 세종실록을 편찬했다. 수양대군을 따라 명나라 연경에 다녀오면서 측근이 되었다. 나주출신 신숙주, 8개 국어에 능통했고 6명 임금을 섬겼고 4번 공신에 책록 문종이 요절하고 어린 단종이 즉위하자 김종서와 황보 인이 권력을 독점했다. 정인지, 성삼문, 신수주 등 집현전 학자들이 수양대군과 결합하여 공격하자 김종서와 황보 인은 안평대군과 연계하여 대응했다
중소벤처뉴스 정길훈 기자 | 김희정 박사 부부 클리닉 제2탄 “마음의 문이 열리면, 감각의 문도 열린다.” <기 고 문> 아름다운 동행 상담센터 김희정 소장 아내는 배우자인 남편이 자신과 대화하려 하지 않고 피하며 그 어떠한 것도 공유하려 하지 않아 힘들다고 하였다. 이 문제는 지금으로부터 약 4년 전부터 부부관계에서 불거져 나왔고 남편은 자신에게 문제가 있을 거라 전혀 생각하지 못하였다. [아름다운 동행 상담센터 김희정 소장] 이때부터 이혼 이야기가 서서히 나오기 시작하였다. 더 이상 못 살겠다는 말이 아내에게서 나왔을 때, 남편은 발등에 불이 떨어진 것을 알고 검색을 통하여 아름다운 동행 상담센터에 찾아올 수 있었다고 하였다. 남편인 철수(가명) 씨는 처음 상담에 임할 때 자신이 ‘바뀔 수 있을까?’라는 생각으로 가득하였지만, 아내에게 ‘이혼하자’라는 말을 왜 들어야 하는지? 자신에게 문제가 문제인지? 자신이 모르는 자신만의 무슨 문제가 있는지? ‘문제가 있다.’라고 한다면 자신은 꼭 고치고 싶다는 마음은 있다고 하였다. 철수 씨는 상담을 받는 과정에 법원에 협의이혼 서류를 접수하였고, 무자녀였기에 한 달간의 숙려기간에 있었다. 철수 씨는 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