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철(羅喆, 1863년~1916년)은 전남 보성 벌교 출신으로 민족종교인 대종교(大倧敎)의 초대 교주이자 독립운동가이다. 본명은 나두영(羅斗永), 개명은 나인영(羅寅永), 아호는 홍암(弘巖)이다. 29세가 되어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벼슬을 시작하였다. 일제의 침략이 극심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호남에서 비밀단체 유신회(維新會)를 조직하여 독립운동을 시작했다. 나철은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기 직전 오기호, 이기 등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서 이토 히로부미 등에게 동양평화를 위해 조선, 중국, 일본 3국의 회맹(會盟)을 제안했다. 나철은 1907년 오적암살단을 결성하고 을사오적을 암살하려다가 발각되어 10년 유형을 선고받고 전남 신안군 지도로 유배되었으나 고종의 특사로 풀려났다. 나철은 조선독립을 위한 구국운동이 좌절되자 종교운동으로 방향을 변경했다. 나철, 대종교 창시하고 일제의 폭정을 통탄하는 유서를 남기고 순교 나철은 도쿄에서 ‘두일백’으로부터 대종교 창시의 계기가 된 ‘단군교 포명서’를 받았고 서울에서 ‘백전’으로부터 대종교 경전이 된 ‘삼일신고’와 ‘신사기’를 받았다. 1909년 1월 15일 단군대황조신위를 모시고 단군교(檀君敎)를 공표하고 제천의식을 거
(유학특집) 4성 맹자와 공문10철 4성 맹자 맹자(孟子)는 전국시대 추(邾) 나라 출신으로 어릴 때부터 공자를 숭상하여 노나라로 건너가서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문하생이 되어 6경(六境)을 수학했다. 맹자는 공자의 사상을 계승하여 공자-증자-자사-맹자로 이어지는 유학의 도통을 계승했다. 맹자의 고향인 추(鄒) 나라는 주(周)나라를 건국한 무왕으로부터 산동성(山東省) 추성시(鄒城市) 지역을 봉분 받은 제후국으로 주루국(邾婁國)이라 하였다. 전국시대 때 추(鄒) 땅으로 이주하고 국명을 추(鄒) 나라로 변경했고 초(楚) 나라에 병합됐다. 맹자는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슬하에서 자랐다. 맹자의 어머니는 맹자의 교육을 위해 묘지에서 시장으로 다시 학교 근처로 이사했다는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의 고사가 전한 때 학자 유향(劉向)이 지은 열녀전(列女傳)에 전환다. 맹자는 40대에 왕도정치를 주창하며 천하를 유람하며 제(齊) 나라 제선왕(齊宣王)을 만났다. 제선왕은 맹자 추연 순우곤 등 제자백가를 등용했고 소진(蘇秦)의 주장에 따라 제나라는 조 위 한 연 제 초와 합종하여 진(秦) 나라를 공격했다. "신하로서 군주를 죽이고 아들로서 아버지를 죽이는
(잊혀진 애국지사) 삼의사 백정기 백정기(白貞基)는 전북 부안에서 태어나서 성장했고 19세에 서울로 상경했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독립선언문 전단을 가지고 고향 부안으로 내려가서 항일운동을 전개했다. 서울 인천 등에서 일본인 및 군사 시설에 대한 공격 활동을 전개했다. 1924년 일본에 밀항하여 후지산 서쪽의 야마나시현 하야카와수력발전소 공사장을 폭파하려다가 실패하고 베이징으로 돌아갔다. 다시 일본으로 밀항하여 메이지 텐노를 암살하려다가 간토 대지진으로 실패하고 베이징으로 돌아갔다. 1924년 베이징에서 이회영 정현섭 유자명 등과 함께 재중국 무정부주의자 연맹’을 창립했다. 백정기는 난징으로 거점을 옮겨 조선 중국 필리핀 일본 타이완 베트남 등 대표가 모여 동방무정부주의자연맹에 참여했다. 1932년 상하이에서 한국 중국 일본 세 나라의 아나키스트들이 항일구국연맹(抗日救國聯盟)을 창립하고 항일투쟁을 전개했다. 행동대로 흑색공포단(黑色恐怖團)을 조직하여 일본 요인을 암살하고 저격하여 '검은 옷을 입은 공포의 대상'으로 불렀다. 1933년 백정기 정현섭 원심창 등은 상하이 훙커우(虹口)에서 주중(駐中) 일본 공사 아리요시 아키라(有吉明)의 암살을 모의
중소벤처뉴스 정길훈 기자 | 김희정 박사 부부클리닉 제3탄 “대화 소통의 기술” <기 고 문> 아름다운 동행 상담센터 김희정 소장 [아름다운 동행 상담센터 김희정 박사 / 소장] 아내는 남편을 만나 알게 된지는 한 5, 6년 되었다. 먼 거리를 마다하고 연애 감정을 키워오다 결혼한지는 1년이 되었다. 남편과 동거 포함 횟수로는 약 3년 정도 되었고, 실제 부부처럼 결혼 생활했다고 할 수 있는 것은 1.5년이다. 차이가 나는 이유는 현재까지도 직장 문제로 각자 떨어져 생활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내는 지방에서 친정어머니를 도와 자영업을 하고 있다. 2주에 한 번씩 남편 홀로 살고 있는 신혼집인 서울로 와서 2주 정도 머물다 다시 지방으로 내려가는 라이프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 신혼집에서 남편과 생활할 때 아내가 느끼는 감정이 문제였다. 아내의 표현을 빌리자면 이러하였다. 「남편과 아내는 바다로 향하였다. 항해사의 역할을 남편에게 맡기고 바다에 배를 띄워 가는데 항해사로서의 기본을 남편이 모르는 것 같다는 것이다. 아내는 남편이 항해사이기에 바다에 대하여 알고 있어야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태풍불면 어떻게 하여야 하는지? 어느 방향으로
(잊혀진 애국지사) 대통령 박은식과 부통령 이시영 ●잊혀진 애국지사 대통령 박은식 박은식(朴殷植)은 황해도 황주군 남면에서 서당 훈장을 하던 박용호의 아들로 태어났다. 안중근의 아버지 안태훈과 교유하며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했다. 향시에 합격하여 기자조선의 시조인 기자를 모신 사당인 숭인전 능참봉으로 재직했다. 박은식은 불혹의 나이가 되자 주자학에 의구심을 갖고 신학문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독립협회에 가입했다. 독립협회는 독립신문을 창간하여 청나라로부터 독립을 기념해 영은문을 헐고 독립문을 세웠다. 하지만 독립신문은 이토 히로부미를 찬양했다. 박은식은 장지연 신채호 남궁억 등과 황성신문을 인수하여 장지연과 공동 주필이 되어 애국적인 사설을 썼다. 황성신문은 을사조약에 대한 장지연의 항일 사설 ‘시일야방성대곡’을 실어 정간당했고 이듬해 복간되었고 한일합방 조약으로 폐간되었다. 대동교(大同敎)를 창건하고 신한혁명당(新韓革命黨)을 조직하여 항일활동을 전개하였다. 박은식은 영국인 어니스트가 창간하여 조선 통감부의 검열을 받지 않은 대한매일신보의 주필이 되어 국채보상운동을 주도했다. 대한매일신보는 한일합방 조약 이후 조선총독부의 기관지 매일신보(每日申報)로 전환됐다. 해
중소벤처뉴스 류권승 기자 UN에 일본 후쿠시마 핵 오염수 해양 투기 반대에 대한 민국 염원을 담아 보내자 -UN에 일본 후쿠시마 핵 오염수 해양 투기 반대 진정서 접수하기 -대한민국 5천만 국민이면 누구나 ......... 일본 정부는 24일 기점으로 후쿠시마 핵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를 시작하였다. 바다는 지구의 한 국가의 소유물이 아닌 전 세계인들의 자산이며, 공동의 재산이다. 그러나 이런 소중한 바다를 자신의 자산인 것처럼 바다에 핵 오염수를 무단 투기하는 국가가 있다. ◆바로 일본이라는 나라이다..... 그들은 후쿠시마 핵 오염수를 방류하기 위하여 IAEA에 많은 기부금을 내고 IAEA는 이 것에 화답하기 위해 후쿠시마 핵 오염수가 안전하다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발표를 하였다. 그리고 대한민국 윤석열 정부와 여당은 이 자료를 가지고 핵 오염수 방류는 정당하다고 하여 핵 오염수 방류를 묵인하고 있다. 그러나 핵 오염수 방류로 인하여 앞으로 어떤 상황이 발생 할 줄은 아무도 알지 못한 일드을 생각하면 앞이 캄캄하다. 길게는 수십년에 걸쳐 이루어지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결과가 후쿠시마 핵 오염수로 인한 결과인지 아닌지 애매한 결과를 만들어서 일본은 핵
중소벤처뉴스 신병철 기자 | <기고문>전진숙 빛고을비전창작소 이사장 "윤석열 정부 매국행위”라 강하게 비판하였다. 전진숙 빛고을비전창작소 이사장은 후쿠시마 핵 오염수 방류 사태에 대해 윤석열 정부를 "매국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하였다. [빛고을비전창작소 전진숙 이사장] 이번 "후쿠시마 핵 오염수 방류 행위로 인하여 대한민국 800만자영업자 다 죽는다. 정부는 지원대책 당장 마련해야한다라고 매우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일본의 후쿠시마 핵 오염수 방류로 수산업계와 자영업자들의 피해가 현실화하였다며, 전진숙 빛고을비전창작소 이사장은 “이번 핵 오염수 방류 사태는 윤석열 정부가 국민을 버리고 일본과 손잡은 매국적인 행위”라고 규탄한다고 하면서 정부가 누구를 위하는 정부인지 모르겠다고 하였다. 우리 국민을 위한 정부라면 이번 사태를 동조하는 것자체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코로나19로 인하여 건국이래 최악의 상황을 3년이라 세월을 버티고, 살아 있음에 감사해야 할 정부가 자국민을 적극적으로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는 정부가 자국민을 보호하지도 않음에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강하게 비판하였다. 전진숙 이사장은 “일본 기시다 정부가 한,미,일 정상회담 이후 한국
한국 다도를 정립한 다성(茶聖), 초의선사 장의순 장의순은 1786년 전남 무안군 삼향면 왕산리에서 태어났다. 15세에 나주 운흥사에서 출가해 19세에 해남 대흥사에서 승려가 되었다. 대흥사 뒷산에 일지암(一枝庵)을 짓고 40년 동안 차와 더불어 살다가 1866년 81세로 입적했다. 장의순은 대흥사 완호(玩虎) 스님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받아 법호 초의(草衣)와 법명 의순(意恂)을 받았다. 서산대사는 ‘선(禪)은 부처님의 마음이요, 교(敎)는 부처님의 말씀이다.’고 하며 조선 중기에 불교의 중흥을 이끌었다. 초의선사는 ‘깨달으면 교(敎)가 선(禪)이 되고 미흡(未洽)하면 선(禪)이 교(敎)가 된다.’고 하며 조선 후기에 불교의 선풍을 일으켰다. 다도(茶道)는 중국의 육우(陸羽)가 8세기 중엽에 지은 ‘다경’에서 비롯되었다. 불교와 함께 다도가 신라와 일본에 전해졌다. 고려시대에는 사찰과 귀족 중심으로 번성했다가 조선의 억불숭유 정책으로 쇠퇴하여 명맥만 유지되었다. 19세기 초에 초의선사가 다도의 이론과 실제를 ‘동다송(東茶頌)’으로 정리함으로써 명맥만 유지하던 우리 다도를 중흥시켰다. 이는 초의선사를 다성(茶聖)으로 추앙하는 계기가 되었다. 초의선사는 ‘만들
(잊혀진 애국지사) 순국열사 홍범식과 의열단 김시현 순국열사 홍범식 홍범식(洪範植)은 정2품 이조판서를 역임한 홍우길의 손자이며 정2품 중추원 참의를 역임한 홍승목의 아들이다. 과거에 급제하여 진사를 시작으로 내부주사와 혜민서참서를 역임했다. 태인군수로 재직 중에 정미의병이 일어나자 의병 보호책을 펼쳤다. 1907년 대한제국과 일본제국 사이에 불평등 조약인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이 체결되어 대한제국은 일본제국의 보호령으로 전락했다. 한일신협약은 정미 7늑약(丁未 七勒約), 3차 한일협약(三次 韓日協約) 이라 부른다. 고종 황제는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2회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를 파견하여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폭로했다. 일제는 특사 파견을 빌미로 한일신협약을 체결하고 고종 황제를 강제로 퇴위시키고 대한제국 군대를 강제로 해산시켰다. 대한제국 군인 제1대대장 박승환이 자결을 시작으로 전국에서 정미의병이 일어났다. 이인영과 허위를 중심으로 13도 창의군을 편성하여 서울 진공 작전을 펼쳤으나 실패했다. 일제는 남한대토벌작전으로 의병 소탕 작전을 자행했다. "기울어진 국운을 바로 잡기엔 내 힘이 무력하기 그지없고 망국노의 수치와 설움을 감추려니 비분을 금할 수 없어
세월을 함께한 친구 인생의 황혼기에 접어든 노인에게 질병만큼 무서운 것이 바로 외로움이라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나이를 먹어갈수록 옛 친구들의 근황이 궁금하고 만나고 싶습니다. 앞만 보고 달려왔던 바쁜 인생의 걸음을 잠시 멈추고, 그때 그 친구들의 목소리를 듣고 싶어 합니다. 정작 만나면 별 할 말도 없을 텐데도 서로 어떻게 나이를 먹고 살아왔는지 보고 싶은 것입니다. 우연히 어린 시절 함께 했던 친구들을 만난 노인은, 그 친구들과의 기억이라고 해봐야 몇 개 없을 터인데 몇 번이고 반복하며 엊그제 일처럼 수다를 떨며 정겨워합니다. 점심시간 되기 전에 도시락을 까먹다가 선생님께 혼난 일부터 여름철 발가벗고 함께 냇가에서 놀았던 이야기까지, 스스럼없이 나눌 때는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행복하기까지 합니다. 노년에 필요한 다섯 가지가 가족, 친구, 취미, 돈 그리고 건강이라고 합니다. 다 가질 수 없겠지만, 전화해서 서로의 안부를 묻고 가끔 만나 옛이야기를 편하게 할 수 있는 친구가 있다면 얼마나 든든할까요. 親 친할 친, 舊 옛 구. 옛날부터 오랫동안 친하게 지낸 사람이 바로 친구입니다. 그래서 나이 들면서 동료나 동지는 만들 수 있어도 친구가 생기기
송조 6현과 해동18현 송조 6현 조광윤이 카이펑을 도읍으로 송나라를 건국하여 당나라가 멸망 이후 화남의 5개 왕조와 화북의 10개 정권이 난립하던 5대10국 시대의 혼란을 통일했다. 송나라는 요나라, 금나라, 서하의 침략을 받았고 원나라에 의해서 멸망했다. 송나라는 여진족 금나라가 침략하자 휘종이 아들 흠종에게 황위를 양위하고 영토할양과 배상금 지급 등 협상을 진행했다, 송나라의 흠종의 굴욕적인 협상에 주전론(主戰論) 자들이 반발하자 금나라가 총공세를 펼쳤다. 송나라는 수도 카이펑이 함락되고 태상황 휘종과 황제 흠종을 포로로 끌려가는 정강의 변(靖康之變)을 당했다. 태상황 휘종의 아홉째 아들이자 황제 흠종의 동생인 조구(趙構)가 임안(臨安)에서 송나라를 재건했다. 송나라는 카이펑이 수도일 때를 북송(北宋)이라 하고 임안이 수도일 때를 남송(南宋)이라 한다. 송조6현(宋朝六賢)은 중국 송나라 때 주돈이, 소옹, 장재, 정호, 정이, 주희 등 6인의 유학자를 지칭한다. 주돈이(周敦頤)는 북송의 유학자로 기존의 유교를 도가의 자연주의 사상, 불교의 심성철학과 융합하여 도학(道學)을 정립했다. 복건성(福建省)에서 정호와 정이 형제의 스승이 되었다. 연꽃을 찬사하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일본땅에 보관하는 것이 타당하다. 간토 지방은 도쿄도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지바현 가나가와현 등 1도 6현을 말한다. 긴키 지방은 교토부 오사카부의 2부와 시가현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미에현의 5현을 말한다. 간토 지방과 긴키 지방은 일본의 중심을 이룬다. 도호쿠 지방은 혼슈 동북에 있는 지방으로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후쿠시마현 등 6현을 말한다. 도호쿠 지방과 홋카이도 지방을 북일본이라고 한다. 세이칸터널과 신칸센터널을 통해 혼슈와 홋카이도가 연결됐다. 도호쿠 지방 북부의 기타토호쿠(北東北)는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아키타현의 3현을 말한다. 도호쿠 지방 남부의 미나미토호(南東北)는 미야기현 야마가타현 후쿠시마현의 3현을 말한다. 후쿠시마현은 도호쿠 지방 남쪽의 태평양에 면한 현으로 현청 소재지는 후쿠시마시이다. 평야가 많고 땅이 비옥해서 전통적으로 인구가 많은 지역이며 지진이 가장 잦은 지역이다.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를 유치하여 재앙이 되었다.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는 1966년 착공하여 1971년 운행했다. 후쿠시마 제2원자력 발전소는 제1원자력 발전소에서 11.5km 떨어진 곳에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