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묘종사와 유교(儒敎) 문묘(文廟) 종사(從事) 신라 31대 신문왕은 나당전쟁으로 피폐해진 혼란을 정비하고 고등교육 기관인 국학(國學)을 설치했다. 김수충(金守忠)이 당나라에서 가져온 공자(孔子) 공문10철 72제자의 화상(畫像)을 국학에 안치했다. 김수충은 신라의 33대 성덕왕의 아들로 견당유학생(遣唐留學生) 자격으로 당나라에 파견되어 3년 동안 머물면서 국학(國學)에 입학하여 유학을 수학했다. 당현종이 김수충을 총애하여 조당(朝堂)에서 연회까지 베풀어 주었다. 고려의 국자감(國子監)은 고구려의 태학(太學)과 신라의 국학(國學)을 계승한 고등교육 기관이다. 충렬왕 때 원나라의 간섭으로 국학으로 개칭됐다. 충선왕 때 성균감(成均監)에 이어 성균관(成均館)으로 격상했다. 조선이 건국되자 개경에서 한양으로 천도하고 성균관도 개성에서 한양으로 옮겨졌다. 성균관은 생원시 진사시 등 소과에 합격한 생도들이 입학하여 대과를 준비했다. 성균관은 유교적 소양을 갖춘 관료를 양성하여 왕조체제 유지에 기여했다. 문묘(文廟)는 문묘(文廟)란 글월 문(文)과 사당 묘(廟)라는 의미이며 공자의 위패를 모신 전각이다. 문선왕묘(文宣王廟)의 약칭으로 공자묘(孔子廟)라고도 부른다 중앙에
신숙주, 배신자와 킹메이커 사이에서 극단적인 평가 받아 범웅 ‘신숙주’는 전남 나주 노안에서 출생했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초시와 복시에 장원을 하였고 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에서 벼슬을 시작했다. 평소에 책읽기를 좋아하여 새벽까지 공부하다가 잠이 들었는데 세종이 지나가다 어의를 벗어 덮어주었다고 전한다. 신숙주는 중국어, 일본어, 몽골어, 여진어, 위구르어, 아랍어, 오키나아어, 이두 등 8개 국어에 능통하여 왜국에 서장관으로 다녀왔다. 정인지, 성삼문, 박팽년 등과 함께 훈민정음 창제자에 앞장섰고 훈민정음 해례본을 편찬했다. 세종은 신숙주, 성삼문, 박팽년 등에게 왕세자 ‘문종’과 왕세손 ‘단종’의 앞날을 부탁한다는 유언을 남기고 승하했다. 신숙주는 문종이 즉위하자 양녕대군을 탄핵했고, 직제학과 부제학이 되었고 세종실록을 편찬했다. 수양대군을 따라 명나라 연경에 다녀오면서 측근이 되었다. 나주출신 신숙주, 8개 국어에 능통했고 6명 임금을 섬겼고 4번 공신에 책록 문종이 요절하고 어린 단종이 즉위하자 김종서와 황보 인이 권력을 독점했다. 정인지, 성삼문, 신수주 등 집현전 학자들이 수양대군과 결합하여 공격하자 김종서와 황보 인은 안평대군과 연계하여 대응했다
중소벤처뉴스 정길훈 기자 | 김희정 박사 부부 클리닉 제2탄 “마음의 문이 열리면, 감각의 문도 열린다.” <기 고 문> 아름다운 동행 상담센터 김희정 소장 아내는 배우자인 남편이 자신과 대화하려 하지 않고 피하며 그 어떠한 것도 공유하려 하지 않아 힘들다고 하였다. 이 문제는 지금으로부터 약 4년 전부터 부부관계에서 불거져 나왔고 남편은 자신에게 문제가 있을 거라 전혀 생각하지 못하였다. [아름다운 동행 상담센터 김희정 소장] 이때부터 이혼 이야기가 서서히 나오기 시작하였다. 더 이상 못 살겠다는 말이 아내에게서 나왔을 때, 남편은 발등에 불이 떨어진 것을 알고 검색을 통하여 아름다운 동행 상담센터에 찾아올 수 있었다고 하였다. 남편인 철수(가명) 씨는 처음 상담에 임할 때 자신이 ‘바뀔 수 있을까?’라는 생각으로 가득하였지만, 아내에게 ‘이혼하자’라는 말을 왜 들어야 하는지? 자신에게 문제가 문제인지? 자신이 모르는 자신만의 무슨 문제가 있는지? ‘문제가 있다.’라고 한다면 자신은 꼭 고치고 싶다는 마음은 있다고 하였다. 철수 씨는 상담을 받는 과정에 법원에 협의이혼 서류를 접수하였고, 무자녀였기에 한 달간의 숙려기간에 있었다. 철수 씨는 처음
일제 강점기 호남 최고의 갑부 ‘현준호’ 무송(撫松) 현준호(玄俊鎬)는 전남 영암군 학산면 침계리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 당시 친일 금융인이자 기업인이다. 현준호의 아버지인 학파(鶴坡) 현기봉(玄基奉)은 신흥제철소를 설립했고, 광주농공은행 이사, 일청생명보험회사 상의원 등을 지내며 일제에 저극 협력하여 조선총독부 참의를 지낸 대표적인 친일 정치인이자 기업가이며 호남에서 소문난 갑부였다. 현준호는 담양의 창평영학숙과 휘문의숙에서 공부했다. 일본 메이지대학을 유학하여 김성수, 송진우 등과 지속적으로 교유했다. 일본에서 귀국하여 호남은행을 설립하여 대표가 되었다. 조선생명보험 감사, 동아고무의 주주, 영암운수 전무, 도시제사공장 이사 등을 역임했다. 또한 동아일보 감사, 보성전문학교 감사를 역임했고 광주공립 여자고등보통학교를 설립했다. 한편 조선민립대학(현 조선대)과 광주의학전문학교(현 전남의대)에 많은 자금을 후원했다. 현준호는 1924년 전라남도 평의원에 올랐으며, 1930년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가 되어 해방 때까지 중임했다. 중추원은 조선 총독부는 자문 기관이며 일제의 조선통치에 도움이 된 자 또는 공로가 있는 자, 그리고 적극적으로 협력해온 자들을 참의로
몽골 특집9~10. 몽골공화국과 내몽골자치구 몽골 특집9. 몽골공화국 1206년 칭기스칸이 몽골제국을 건설했고 1271년 쿠발라이칸이 원나라를 건설하여 남송을 정복하여 최초로 이민족이 대륙을 통일하고 세계 최강국이 되었다. 1368년 명나라에 의해 몽골고원으로 쫓겨났다 청나라에 의해 내몽골과 외몽골로 분열됐다. 1911년 신해혁명 직후 1차 혁명을 일으켜서 청나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으나 중화민국이 독립을 인정하지 않았다. 1921년 러시아혁명 직후 2차 혁명을 일으켜서 중화민국으로부터 독립했다. 1924년 몽골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세계에서 두 번째로 공산주의 국가가 탄생했다. 1991년 민주화 혁명을 일으켜서 복수정당제를 채택하고 계획경제 체제를 폐기하고 시장경제 정책을 도입했다. 몽골은 동아시아의 내륙국으로 면적은 세계 18위로 남한의 15배이며 인구는 340만 명으로 부산과 비슷하며 세계에서 인구밀도 가장 낮다 공용어는 몽골어이며 키릴문자를 사용한다. 몽골은 중국 자치구인 내몽골과 몽골국인 외몽골로 구분한다. 외몽골의 동쪽은 헹티산맥, 서쪽은 알타이산맥, 남쪽은 고비사막, 북쪽은 타이가 슾지이다. 몽골인 중에서 외몽골보다 내몽골에서 사는 인구가 많다. 옵
몽골 특집7. 원나라의 쇠퇴 북원(北元)은 1368년 몽골제국 17대 황제이자 원나라 13대 황제이며 북원의 초대 황제인 혜종이 명나라 주원장에게 쫓겨나서 만리장성 북쪽의 몽골초원에서 재건한 나라이다. 혜종은 오이라트에 살해됐고 기황후는 행방은 알 수 없다. 북원의 2대 소종은 원나라 14대 황제이며 혜종과 기황후의 아들이다. 소종은 명나라군의 다시 외몽골로 쫓겨났다 기황후는 고려인 공녀로 혜종의 궁녀에서 황후가 되어 소종을 낳았다. 북원의 3대 평제는 원나라 15대 황제이며 혜종의 아들이자 소종의 이복동생으로 1635년 조리그투칸과 오이라트에 살해됐다. 북원의 장수들이 명나라에 투항하여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 원나라가 몽골초원으로 쫓기 나자 조리그투칸이 몽골제국 18대 대칸으로 즉위하여 국호 대원(大元)을 폐지했다. 몽골제국 마지막 황제인 39대 링단칸이 티베트로 가려던 중 급사했다. 1634년 황족들이 청나라 홍타이지에게 항복하여 멸망했다. 모굴리스탄칸국은 1347년 차가타이칸국에서 독립하여 1706년까지 중앙아시아 동부에 성립된 몽골계 국가이다. 모굴인이 중심이 되어 모굴칸국이라 한다. 오이라트 출신의 인류 역사 최후의 유목제국인 준가르에 멸망했다. 오
전라도는 '주홍글씨' 영화 주홍글씨는 ‘두번의 살인 세가지 사랑 그리고 네개의 결말’ 이라는 카피가 말해주듯 사랑과 살인 알 수 없는 결말을 예고한다. 살인사건이 나자 강력계 형사(한석규)는 순종적 아내(엄지원)와 팜므파탈 애인(이은주) 사이의 얽히고 설킨 관계의 실마리를 풀려한다. 부인이 임신을 하자 애인과 이별을 하려 하지만 어긋난 사랑은 이별을 허락하지 않는다. 형사의 아내와 형사의 애인은 서로 동성 연애를 했다. 그녀는 다른 그녀를 붙잡기 위해 그녀의 애인과 결혼을 한다 결국 어긋난 사랑은 그 사랑에 주홍글씨를 선택한다. 주홍글씨는 영화 드라마 그리고 책으로 다양하게 우리에게 전해졌다. 본래 주홍글씨란 '영국 청교도가 간통한 여자에게 adultery의 첫자 A를 가슴에 주홍색으로 새겼던 것이다'고 한다. 전라도 땅은 삼한시대엔 마한 땅이고 삼국시대엔 백제 땅이다. 고려시대에 전주목과 나주목을 설치했고 전주와 나주 첫 글자를 따서 ‘전라도’ 라 했다. '무진주' 광주는 1896년 전남과 전북이 나뉘면서 전남 도청이 되었고 1986년 독립 하였고 2005년 전남 도청이 남악으로 떠났다. 고려 태조 왕건은 훈요십조를 통해 ‘호남인은 벼슬을 주지 마라’고 했
(인물탐구) 참 스승, 송기숙 교수 민중문학의 개척자, 살아있는 양심으로 존경받아 송기숙은 전남 장흥 출신의 소설가이자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였다. 1965년 현대문학에 문학평론 ‘이상서설(李箱序說)’이 추천되었다. 단편집 ‘백의민족’, 장편소설 ‘자랏골의 비가,’ ‘녹두장군’, ‘암태도’ 등을 발표했다. 1978년 6월 27일 송기숙 등 전남대학교 교수 11명은 '우리의 교육지표' 선언문을 발표했고 6월 29일 전남대학교 학생들이 지지 시위를 벌였다. 선언문은 유신 정권의 교육 이데올로기였던 '국민교육헌장'을 비판하고 교육민주화를 요구하는 내용이었다. 참여 교수 11명은 대통령 긴급조치 제9호 위반으로 구속되었고, 대학생 30 여 명은 구속, 제적, 정학을 당했다. 송기숙은 4년형을 선고받고 1년 1개월을 복역했다가 제헌절 특사로 석방되었고 1984년 전남대학교에 복직되었다. 유신정권에 저항하며 교육민주화 선언으로 옥고와 해직까지 2013년 3월 29일 송기숙 등 8명은 '우리의 교육지표' 선언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받았다. 치매를 앓고 있던 송기숙은 35년 만에 명예를 회복했다. 광주지법 형사12부 신현범 부장판사는 “무죄판결을 이제야 한다는 것이
몽골 특집5~6. 몽골제국의 분열과 원나라 몽골 특집5. 몽골제국의 분열 차가타이칸국은 1226년 칭기즈칸이 둘째 아들 차가타이가 칭기즈칸으로부터 중앙아시아 지역을 분봉 받아 수립됐다. 4대 몽케칸이 사망하자 아리크부케에 반기를 들고 오고타이칸국과 대립했다. 카이두가 원나라와 연합하여 오고타이칸국을 정복했다. 10대 두아칸이 오고타이칸국을 정복했다. 차가타이칸국은 유목민과 정주민의 분열로 동차가타이칸국과 서차가타이칸국으로 양분됐다. 서차가타이칸국을 티무르왕조가 장악했다. 티무르왕조가 멸망하자 모굴리스탄칸국이 계승했다. 오고타이칸국은 칭기즈칸이 셋째 아들 오고타이가 칭기즈칸으로부터 서몽골 지역을 분봉 받아 수립됐다. 초대 오고타이칸을 대신하여 오고타이칸의 황후가 섭정했다. 2대 귀위크칸을 대신하여 황후가 섭정했다. 3대 카이두는 오고타이의 손자로 1271년부터 실질적인 통치자였다. 아리크부케의 계승자를 선언하며 원나라 쿠빌라이칸과 내전을 벌였다. 6대 차파르칸은 차가타이칸국과 교전에서 패배하고 원나라로 망명했다. 킵차크칸국은 칭기즈칸이 첫째 아들 주치의 아들인 바투가 오고타이칸이 사망하자 남러시아에서 수립했다 바투칸이 몽케칸을 추대한 공로로 자치권을 승인받았다
중소벤처뉴스 구일암 기자 | <인물동정> 김희정 소장 전문 상담학 박사 소개 ◆김희정 소장은 전문상담가로서 상담학 박사이다. <아름다운 동행> 상담센터 김희정 소장(상담학 박사)은 결혼 예비 커플과 미혼, 기혼자들을 위하여 부부관계치료에 관한 특강이나 교육, 상담과 워크샵을 진행하는 부부클리닉 상담학 박사로도 유명하다. [김희정 전문 상담학 박사] <아름다운 동행> 상담센터에는 “우울증, 트라우마, 공황장애, 외도, 중독, 성문제, 대화단절, 의사소통갈등, 고부갈등, 자녀문제, 경제문제 등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사전 예약을 통하여 상담실을 방문하고 있다. 그 때 마다 한 분 한 분에게 성심성의껏 새로운 삶을 영위하도록 활동을 하고 있다. ◆김희정 상담학박사 프로필은 아래와 같다. - 아름다운동행 상담센터 소장 - 서울관악가족상담센터 센터장 - 국제공인이마고부부치료사 (CIT) - 국제공인이마고워크샵프리젠터 (CWP) - 한국상담학회 전문영역 슈퍼바이저 - 한국부부가족상담협회 가족상담 수련감독 - 한국부부가족상담협회 부부상담 수련감독 - 한국부부상담연구소 부부치료 이론 및 실제 강사 - 서울가정법원 후견감독심리상담위원 - 의정부
몽골 특집3. 칭기즈칸 카마그몽골족의 에수게이는 메르키트족의 후엘룬을 약탈하여 결혼했다 몽골족과 메르키트족은 원수지간이 되었다. 에수게이는 타타르족의 장수 테무친 우게를 죽이고 아들의 이름을 테무친이라 하였다. 에수게이는 타타르족에 의해 독살됐다. 메르키트족은 에수게이가 후엘룬을 약탈한 것에 대한 복수로 테무친의 아내 보르테를 납치했다. 테무친은 아버지와 의형제를 맺은 케레이트족 부족장을 찾아가서 결혼동맹을 맺고 메르키트족에 공격에 대한 도움을 요청했다. 테무친은 케레이트족의 의형제 자무카와 함께 메르키트족을 공격하여 임신한 상태의 아내 보르테를 구출했다. 세력을 형성한 테무친은 몽골족으로부터 칸으로 추대됐다. 의형제 자무카가 시기를 느끼고 테무친에게 공격했다. 테무친이 배신자 자무카를 공격하자 나이만족에게 도망갔다. 테무친은 여진족 금나라를 등에 업고 몽골족을 핍박하던 타타르족을 정벌하고 자무카가 도망간 나이만족을 정벌했다. 테무친은 몽골을 통일하고 대몽골제국의 칭기즈칸으로 즉위했다. 에스게이와 첫 번째 부인 소치겔 사이에 벡테르, 벨구테이를 낳았고 두 번째 부인 호엘룬 사이에 보르테, 테무친, 카사르, 하지운을 낳았다. 칭기즈칸과 보르테 사이에 1남 주치
몽골 특집1~2. 몽골초원과 몽골제국 몽골 특집1. 몽골초원 동아시아인(East Asian)은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 몽골인 등이 있다. 몽골인은 몽골 공화국을 중심으로 중국의 내몽골 자치구와 신장웨이우얼 자치구, 러시아의 칼미크 공화국과 부랴티야 공화국 등에 거주하는 몽골계 민족이다. 몽골초원에는 동호족이 수렵과 농경을 하며 거주했다. 몽골제국이 등장하기 전에는 흉노족의 흉노제국, 선비족의 유연 북위 수나라 당나라, 돌궐족의 돌궐제국, 위구르족의 위구르제국, 거란족의 요나라, 여진족의 금나라 등이 차례로 패권을 장악했다. 몽골고원은 시계 방향으로 야블로노비산맥, 다싱안링산맥, 난산산맥, 알타이산맥으로 둘러싸인 고원지대이다. 몽골고원은 풀이 자라지 않아 인류가 살지 않는 고비사막과 기원전 1,000년경부터 유목민 부족이 거주하던 초원지대로 구성됐다. 몽골초원에서 12세기까지 유목 생활을 하는 카마그몽골부족, 메르키트부족, 타타르부족, 케레이트부족, 나이만부족 등 5부족이 거주했다. 카마그몽골부족의 테무친은 몽골고원을 기반으로 유목 생활을 하던 4개 부족을 정복하고 몽골제국을 건국했다. 카마그몽골부족은 동호족의 갈래인 몽올실위로부터 유래했다. 카마그몽골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