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당 대표는 단식투쟁 16일째를 접어들어 생사를 다투고 있는 이 시점에 당 대표 “법률특보”라는 박균택 검사 출신 법률특보가 16일(토)“출판기념회”를 한다라고 전국이 들썩이고 있다. 당 대표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여러가지 현안으로 단식농성 “16일째”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당 대표 단식중] 이재명 당 대표 단식에 관하여 전 국민이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중요한 상황에 당 대표 단식투쟁을 함께하고자 전국에 특보들도 릴레이 단식 천막농성으로 고통을 함께 하고 있는 있으면서 특보들은 병원에 실려가고 있는 이변이 속출하고 있는 마당에 법률특보는 내년 총선을 위해 한가롭게 출판기념회 한다, 참으로 한심스럽기보단 개탄스럽다! 당 대표가 단식 농성중에 전국적으로 다른 특보들은 출판기념회를 잠정적 연기를 하고있는 판국에 법률특보는 한가롭게 책 장사를 하여 내년 총선을 대비하고 있다. 물론 출판기념회를 하고, 안 하고는 최종적으로 본인이 판단할 문제이다. 그러나 지금의 현 상황은 출판기념회를 해야 할 상황은 안이다라고 특히 지역구뿐 아니라 전국에서 이구동성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들을 하고 있다. 오직 당 대표는 이 나라와 국민을 위해 단식농
많은 사람들은 누군가를 만나서 로맨틱한 사랑을 꿈꾸며 낭만적인 사랑에 빠진다. 두 사람이 열렬히 사랑하기에 결혼을 약속하게 된다. 결혼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둘만의 사랑 보금자리를 만들어 가고 싶어 하는 것이 그들의 마음일 것이다. 그 마음은 변치 않을 것이라는 환상을 실은 채 결혼이라는 배를 타고 긴 항해를 떠난다. [김희정 박사 부부 클리닉 "아름다운 동행상담센터" 소장] 그러나 영원하리라 믿었던 사랑의 보금자리 안에서 커플, 부부 관계는 한 해 두 해 거듭해 갈수록 어느 틈엔가 보이지 않는 벽이 생긴다. 말을 하면 통통 튕기며 나뒹굴다가 데굴데굴 살이 붙어서 결국은 말했던 자신에게 말로 되돌아오는 것을 경험하게 되기도 한다. 이 경험은 한 번이 두 번이 되고 두 번이 열 번이 되면서 바라만 봐도 좋았던 연애 시절은 어디로 가고 없음을 알아차리게 된다. 어디서부터 삐걱되었는지 되새김질하고 리플레이 해 보지만 연애 때 그토록 좋아했던 그(그녀)는 보이지 않는다. 쳐다만 봐도 고개를 돌려버리고 싶은 그런 대상만이 내 앞에 있게 되는 것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다 문득, ‘내가 이런 사람을 사랑했던 것이 맞나?’ 라고 자책・후회・단념・포기의 단계를 지나 완
[사공의 뱃노래 가물거리며 삼학도 파도 깊이 숨어드는데 부두의 새악시 아롱젖은 옷자락 이별의 눈물이냐 목포의 설움 삼백년 원한품은 노적봉 밑에 임자취 완연하다 애달픈 정조 유달산 바람도 영산강을 안으니 임그려 우는 마음 목포의 노래 깊은밤 조각달은 흘러가는데 어찌타 옛상처가 새로워진다. 못오는 님이면 이마음도 보낼것을 항구의 맺는 절개 목포의 사랑 1935년 조선일보의 민족문화 말살에 대응하며 조국애를 담은 애향가 현상모집에 20대 무명 시인 문일석의 목포의 사랑’이 당선됐다. 오케레코드사가 ‘목포의 눈물’로 제목을 바꾸고 손목인이 곡을 붙였다. 신인가수 이난영이 노래하여 한국에서 불멸의 명곡이 되었다. ‘목포의 눈물’은 나라 잃은 식민지 백성들의 슬픔과 울분을 달래주는 노래가 되었고 일본인들의 사랑까지 받았다. = 조선 총독부에서 2절 가사가 ‘삼백년 원한품은 노적봉 밑에’를 문제 삼아 불온한 기운이 있다며 금지곡 지정처분을 내렸다. 이순신 장군이 정유재란 당시 ‘노적봉’에 이엉을 덮어 수백 만석의 쌀가마니를 쌓아둔 것처럼 위장하고 영산강에 횟가루를 뿌려 쌀뜨물처럼 속였다는 전설이 있다. 결국 세 그루의 동백이 있는 연못에 평안히 부는 바람이라는 뜻으로 ‘
시골집 감나무는 한해는 많이 열렸다가 한해는 적게 열리기를 반복한다. 지나치게 많은 열매를 매달면 수세가 약해져서 수확량이 줄게 되고, 수확량이 적은 해에는 수세를 회복하여 다음 해에 수확량이 많아지게 되는 현상을 '해걸이' 라고 한다. 선조들은 마당 가장자리의 대추나무에 많은 대추가 열리게 하려고 염소 한 마리를 매어 놓았다고 한다. 대추나무에 고삐에 묶여있는 염소가 나무를 흔들어 괴롭히면 생명에 위협을 느낀 나무는 많은 열매를 번식하도록 노력한다는 것이다. 춘추전국시대 초나라의 철학자 노자(老子)는 무위(無爲)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는 도덕경(道德经)을 남겼다. 노자는 선섭생자, 이기무사지(善攝生者, 以基無死地)라며 '섭생(攝生)을 잘하는 사람은 죽음의 땅에 들어가지 않는다' 라고 하였다. 노자는 자신의 생을 너무 귀하게 여기는 귀생(貴生)은 오히려 생이 위태롭게 될 수 있고, 자신의 생을 억누르는 섭생(攝生)이 오히려 삶을 더 아름다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는 '와사보생(臥死步生)'의 교훈이다. 춘추전국시대 송나라의 철학자 장자(莊子)는 노자(老子)의 사상을 계승, 발전시킨 인물로 자연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했다. 장자는 친구인 혜시
설시(舌詩) / 풍도(馮道) 구시화지문(口是禍之門) 입은 화를 부르는 문이요 설시참신도(舌是斬身刀) 혀는 몸을 베는 칼이니. 폐구심장설(閉口深藏舌) 입을 다물고 혀를 깊이 감추면 안신처처뢰(安身處處牢) 몸이 어디에 있든지 편안하리라 풍도(馮道)는 인생살이가 입이 화근(禍根)임을 깨닫고 73세의 장수를 누리는 동안 입 조심 하고 혀를 감추고 말 조심을 처세의 근본으로 삼았기에 난세에서도 영달을 거듭한 것이다. 입을 조심하고, 혀를 조심하고, 말을 삼가하라는 것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유구한 진리이다. 심신(心身)이 편안한 삶은 말을 삼가하는 것이다. 풍도(馮道)는 882년 태어나서 954년 사망하여 73세까지 장수한 정치가이다. 풍도는 청렴하고 검소했고 지혜가 많았다. 후당, 후진, 요, 후한, 후주 등 다섯 왕조에서 열한 명의 군주를 섬겼다. 30년 벼슬 중에서 20년 동안 네 왕조의 재상을 역임했다. 875년 환관들의 수탈과 횡포에 저항하며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당나라는 멸망의 길을 재촉했다. 907년 주전충이 당나라 마지막 황제인 9대 애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후량을 건국하여 오대십국 시대(五代十國 時代)가 시작했다. 풍도는 이존욱이 후당(後唐)의 초대 황제
나철(羅喆, 1863년~1916년)은 전남 보성 벌교 출신으로 민족종교인 대종교(大倧敎)의 초대 교주이자 독립운동가이다. 본명은 나두영(羅斗永), 개명은 나인영(羅寅永), 아호는 홍암(弘巖)이다. 29세가 되어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벼슬을 시작하였다. 일제의 침략이 극심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호남에서 비밀단체 유신회(維新會)를 조직하여 독립운동을 시작했다. 나철은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기 직전 오기호, 이기 등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서 이토 히로부미 등에게 동양평화를 위해 조선, 중국, 일본 3국의 회맹(會盟)을 제안했다. 나철은 1907년 오적암살단을 결성하고 을사오적을 암살하려다가 발각되어 10년 유형을 선고받고 전남 신안군 지도로 유배되었으나 고종의 특사로 풀려났다. 나철은 조선독립을 위한 구국운동이 좌절되자 종교운동으로 방향을 변경했다. 나철, 대종교 창시하고 일제의 폭정을 통탄하는 유서를 남기고 순교 나철은 도쿄에서 ‘두일백’으로부터 대종교 창시의 계기가 된 ‘단군교 포명서’를 받았고 서울에서 ‘백전’으로부터 대종교 경전이 된 ‘삼일신고’와 ‘신사기’를 받았다. 1909년 1월 15일 단군대황조신위를 모시고 단군교(檀君敎)를 공표하고 제천의식을 거
중소벤처뉴스 정길훈 기자 | 김희정 박사 부부클리닉 제3탄 “대화 소통의 기술” <기 고 문> 아름다운 동행 상담센터 김희정 소장 [아름다운 동행 상담센터 김희정 박사 / 소장] 아내는 남편을 만나 알게 된지는 한 5, 6년 되었다. 먼 거리를 마다하고 연애 감정을 키워오다 결혼한지는 1년이 되었다. 남편과 동거 포함 횟수로는 약 3년 정도 되었고, 실제 부부처럼 결혼 생활했다고 할 수 있는 것은 1.5년이다. 차이가 나는 이유는 현재까지도 직장 문제로 각자 떨어져 생활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내는 지방에서 친정어머니를 도와 자영업을 하고 있다. 2주에 한 번씩 남편 홀로 살고 있는 신혼집인 서울로 와서 2주 정도 머물다 다시 지방으로 내려가는 라이프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 신혼집에서 남편과 생활할 때 아내가 느끼는 감정이 문제였다. 아내의 표현을 빌리자면 이러하였다. 「남편과 아내는 바다로 향하였다. 항해사의 역할을 남편에게 맡기고 바다에 배를 띄워 가는데 항해사로서의 기본을 남편이 모르는 것 같다는 것이다. 아내는 남편이 항해사이기에 바다에 대하여 알고 있어야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태풍불면 어떻게 하여야 하는지? 어느 방향으로
중소벤처뉴스 신병철 기자 | <기고문>전진숙 빛고을비전창작소 이사장 "윤석열 정부 매국행위”라 강하게 비판하였다. 전진숙 빛고을비전창작소 이사장은 후쿠시마 핵 오염수 방류 사태에 대해 윤석열 정부를 "매국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하였다. [빛고을비전창작소 전진숙 이사장] 이번 "후쿠시마 핵 오염수 방류 행위로 인하여 대한민국 800만자영업자 다 죽는다. 정부는 지원대책 당장 마련해야한다라고 매우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일본의 후쿠시마 핵 오염수 방류로 수산업계와 자영업자들의 피해가 현실화하였다며, 전진숙 빛고을비전창작소 이사장은 “이번 핵 오염수 방류 사태는 윤석열 정부가 국민을 버리고 일본과 손잡은 매국적인 행위”라고 규탄한다고 하면서 정부가 누구를 위하는 정부인지 모르겠다고 하였다. 우리 국민을 위한 정부라면 이번 사태를 동조하는 것자체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코로나19로 인하여 건국이래 최악의 상황을 3년이라 세월을 버티고, 살아 있음에 감사해야 할 정부가 자국민을 적극적으로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는 정부가 자국민을 보호하지도 않음에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강하게 비판하였다. 전진숙 이사장은 “일본 기시다 정부가 한,미,일 정상회담 이후 한국
한국 다도를 정립한 다성(茶聖), 초의선사 장의순 장의순은 1786년 전남 무안군 삼향면 왕산리에서 태어났다. 15세에 나주 운흥사에서 출가해 19세에 해남 대흥사에서 승려가 되었다. 대흥사 뒷산에 일지암(一枝庵)을 짓고 40년 동안 차와 더불어 살다가 1866년 81세로 입적했다. 장의순은 대흥사 완호(玩虎) 스님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받아 법호 초의(草衣)와 법명 의순(意恂)을 받았다. 서산대사는 ‘선(禪)은 부처님의 마음이요, 교(敎)는 부처님의 말씀이다.’고 하며 조선 중기에 불교의 중흥을 이끌었다. 초의선사는 ‘깨달으면 교(敎)가 선(禪)이 되고 미흡(未洽)하면 선(禪)이 교(敎)가 된다.’고 하며 조선 후기에 불교의 선풍을 일으켰다. 다도(茶道)는 중국의 육우(陸羽)가 8세기 중엽에 지은 ‘다경’에서 비롯되었다. 불교와 함께 다도가 신라와 일본에 전해졌다. 고려시대에는 사찰과 귀족 중심으로 번성했다가 조선의 억불숭유 정책으로 쇠퇴하여 명맥만 유지되었다. 19세기 초에 초의선사가 다도의 이론과 실제를 ‘동다송(東茶頌)’으로 정리함으로써 명맥만 유지하던 우리 다도를 중흥시켰다. 이는 초의선사를 다성(茶聖)으로 추앙하는 계기가 되었다. 초의선사는 ‘만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일본땅에 보관하는 것이 타당하다. 간토 지방은 도쿄도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지바현 가나가와현 등 1도 6현을 말한다. 긴키 지방은 교토부 오사카부의 2부와 시가현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미에현의 5현을 말한다. 간토 지방과 긴키 지방은 일본의 중심을 이룬다. 도호쿠 지방은 혼슈 동북에 있는 지방으로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후쿠시마현 등 6현을 말한다. 도호쿠 지방과 홋카이도 지방을 북일본이라고 한다. 세이칸터널과 신칸센터널을 통해 혼슈와 홋카이도가 연결됐다. 도호쿠 지방 북부의 기타토호쿠(北東北)는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아키타현의 3현을 말한다. 도호쿠 지방 남부의 미나미토호(南東北)는 미야기현 야마가타현 후쿠시마현의 3현을 말한다. 후쿠시마현은 도호쿠 지방 남쪽의 태평양에 면한 현으로 현청 소재지는 후쿠시마시이다. 평야가 많고 땅이 비옥해서 전통적으로 인구가 많은 지역이며 지진이 가장 잦은 지역이다.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를 유치하여 재앙이 되었다.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는 1966년 착공하여 1971년 운행했다. 후쿠시마 제2원자력 발전소는 제1원자력 발전소에서 11.5km 떨어진 곳에 1
중소벤처뉴스 정길훈 기자 | 김희정 박사 부부 클리닉 제2탄 “마음의 문이 열리면, 감각의 문도 열린다.” <기 고 문> 아름다운 동행 상담센터 김희정 소장 아내는 배우자인 남편이 자신과 대화하려 하지 않고 피하며 그 어떠한 것도 공유하려 하지 않아 힘들다고 하였다. 이 문제는 지금으로부터 약 4년 전부터 부부관계에서 불거져 나왔고 남편은 자신에게 문제가 있을 거라 전혀 생각하지 못하였다. [아름다운 동행 상담센터 김희정 소장] 이때부터 이혼 이야기가 서서히 나오기 시작하였다. 더 이상 못 살겠다는 말이 아내에게서 나왔을 때, 남편은 발등에 불이 떨어진 것을 알고 검색을 통하여 아름다운 동행 상담센터에 찾아올 수 있었다고 하였다. 남편인 철수(가명) 씨는 처음 상담에 임할 때 자신이 ‘바뀔 수 있을까?’라는 생각으로 가득하였지만, 아내에게 ‘이혼하자’라는 말을 왜 들어야 하는지? 자신에게 문제가 문제인지? 자신이 모르는 자신만의 무슨 문제가 있는지? ‘문제가 있다.’라고 한다면 자신은 꼭 고치고 싶다는 마음은 있다고 하였다. 철수 씨는 상담을 받는 과정에 법원에 협의이혼 서류를 접수하였고, 무자녀였기에 한 달간의 숙려기간에 있었다. 철수 씨는 처음
일제 강점기 호남 최고의 갑부 ‘현준호’ 무송(撫松) 현준호(玄俊鎬)는 전남 영암군 학산면 침계리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 당시 친일 금융인이자 기업인이다. 현준호의 아버지인 학파(鶴坡) 현기봉(玄基奉)은 신흥제철소를 설립했고, 광주농공은행 이사, 일청생명보험회사 상의원 등을 지내며 일제에 저극 협력하여 조선총독부 참의를 지낸 대표적인 친일 정치인이자 기업가이며 호남에서 소문난 갑부였다. 현준호는 담양의 창평영학숙과 휘문의숙에서 공부했다. 일본 메이지대학을 유학하여 김성수, 송진우 등과 지속적으로 교유했다. 일본에서 귀국하여 호남은행을 설립하여 대표가 되었다. 조선생명보험 감사, 동아고무의 주주, 영암운수 전무, 도시제사공장 이사 등을 역임했다. 또한 동아일보 감사, 보성전문학교 감사를 역임했고 광주공립 여자고등보통학교를 설립했다. 한편 조선민립대학(현 조선대)과 광주의학전문학교(현 전남의대)에 많은 자금을 후원했다. 현준호는 1924년 전라남도 평의원에 올랐으며, 1930년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가 되어 해방 때까지 중임했다. 중추원은 조선 총독부는 자문 기관이며 일제의 조선통치에 도움이 된 자 또는 공로가 있는 자, 그리고 적극적으로 협력해온 자들을 참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