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시인1, 정 도 전 (鄭 道 傳) 題咸營松樹(제함영송수) / 정도전(鄭道傳) 蒼茫歲月一株松 (창망세월일주송) 生長靑山幾萬重 (쌩장청산기만증) 好在他年相見否 (호재타년상견부) 人間俯仰便陳蹤 (인간부양변진증) 아득한 세월 속에 한 그루 소나무여 청산에서 자람은 어찌 만 배나 중하지 않으랴만. 좋았던 시절에 서로 만나지 못하였으니 세상을 굽어보고 우러러보아도 묵은 흔적뿐이구나. 정도전은 경상도 영주에서 태어나서 과거에 급제하고 명나라와 화친을 주장하다가 파직과 복직을 반복했다. 정도전은 고려의 혁명을 위해 함흥으로 이성계를 찾아가서 천명에 따라 세상을 구원하자고 요청한다. 정도전은 우창비왕설(禑昌非王說)을 주장하며 우왕 창왕을 폐위했다. 위화도 회군으로 권력을 장악하고 공양왕마저 폐위하고 이성계를 조선의 국왕으로 옹립했다. 조선 건국의 일등공신이 되어 체제와 관제를 정비했다. 정도전은 불교를 배척하고 성리학을 국교로 삼아 위로는 임금을 받들어 올바르게 인도하고, 아래로는 신하들을 통괄하여 태평성대를 추구했다. 경복궁과 한양도성을 건축하여 개성에서 한양으로 수도를 천도했다. 정도전은 ‘시절이 태평하면 적장자를 세우고 난세에는 공이 많은 왕자를 세워야 한다’라
전주시(全州市)는 을사늑약 직후 일제가 전주부성을 철거한 자리에 일본인 거주지가 형성됐다. 조선인들이 한옥촌을 짓기 시작하여 전주한옥마을을 형성했다.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봉안한 경기전, 풍패지관, 풍남문, 전주향교, 전동성당 등 각종 문화재가 있다. 군산시(群山市)는 일제강점기 당시 호남평야에서 생산되는 쌀을 수탈하기 위해 성장한 항구 도시이다. 선유도는 고군산군도의 중심 섬으로 섬의 경치가 너무 아름다워 신선이 놀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남원시(南原市)는 태고의 신비를 간직한 지리산과 대한민국 5대강 중 가장 깨끗한 섬진강을 사이에 있는 농촌 도시이다. 춘향가의 성춘향과 이몽룡이 만난 광한루가 있다. 진안군(鎭安郡)은 산의 모양이 말의 귀와 같다 하여 붙여진 명승 제12호 마이산이 아름답다. 무주, 진안, 장수는 '호남의 지붕'으로 '무진장(茂鎭長)'이라 하며 가장 원시적인 자연을 간직하고 있다. 고창군(高敞郡)은 동백꽃으로 유명한 천년고찰 선운사와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곳에서 자라는 풍천장어가 유명하다. 전통의 도시, 전주 한옥마을과 남원 광한루 부안군(扶安郡)은 난리가 미치지 않는다는 십승지지(十勝之地)의 하나로 변산반도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무엇을 할 수 있으며, 무슨 말을 할 수 있겠는가?" 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종자기(鍾子期)가 죽자 백아(伯牙)는 죽을 때까지 다시는 거문고를 연주하지 않았습니다. 왜 그랬겠습니까? 선비는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을 위하여 행동하고, 여자는 자기를 기쁘게 해주는 사람을 위하여 단장합니다. 자신의 몸을 수양하는 것은 지혜의 표시이며, 남에게 베풀기를 좋아하는 것은 어짊의 실마리이며, 주고받는 것은 의리가 드러나는 바이며, 치욕을 당하면 용기로 결단하게 되며, 뜻을 세우는 것은 행동의 목적이라고 들었습니다. 서백(西伯)은 백작으로 유리에 갇혔습니다. 이사(李斯)는 재상의 몸으로 다섯 가지 형벌을 다 당했습니다. 한신(韓信)은 왕의 신분이었지만 진(陳)이란 곳에서 붙잡혔습니다. 팽월(彭越)과 장오(張傲)도 한 때 왕 노릇을 하였으나 감옥에 갇혀 죄를 받았습니다. 강후(絳侯)는 여씨들을 타도하여 권력이 오패를 능가하였으나 청실(靑室)에 갇혔습니다. 위기후(魏其侯)는 대장의 몸으로 붉은 죄수복을 입고 목과 손발에는 쇠고랑이 채워졌습니다. 계포(季布)는 주가(朱家)의 집에서 목에 칼을 쓴 노예가 되었습니다. 관부(灌夫)는 거실(居室)에서 치욕을 당했습니다. 문왕(文王)은
신문에 안타까운 죽음을 접할 때 마다 착찹한 마음이 든다. 조그만 주의를 기울였으면 생명을 구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 때는 더욱 그렇다. 광주시 연제동에서 발생한 모녀의 극단적 선택도 그렇다. 내가 살고 있는 지역, 이웃의 불상사라서 남의 일처럼 여겨지지 않는다. 두 모녀가 남편의 상속 부채 3억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다가 관리비 40만원, 장례비 800만원을 남긴채 고층아파트에서 생을 마감하는 선택을 했다는 보도이다. 만약 그들이 남편 사망당시에 상속포기를 통해 부채를 떠 안지 않아도 되는 제도만 알았더라도, 상담을 통해서 파산선고를 통해 회생하는 절차가 있다는 것만 알았더라도 부채 때문에 자살을 선택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사회안전망 제도는 기초생활수급자 중심 관리의 제도적 취약점으로 인해 과거 송파 세모녀 자살에서와 마찬가지로 수급자가 아니면 도움 요청할 방법이나 제도적 취약함으로 인해 생명의 포기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사회안전망이란 '사회구성원들이 삶의 주기에서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위험들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보호해 주는 제도적 장치'를 지칭한다. 삶의 주기에서 나타나는 위험들에 대처하는 사회안전망의 가장 큰 목적은 빈곤을 예방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 /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천둥은 먹구름 속에서 또 그렇게 울었나 보다. /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 머언 먼 젊음의 뒤안길에서 인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 노오란 네 꽃잎이 피려고 간밤엔 무서리가 저리 내리고 내게는 잠도 오지 않았나 보다] 서정주의 ‘국화 옆에서’는 1947년 11월 9일 경향신문에 처음으로 발표됐다. 소쩍새와 천동, 돌아온 여인과 무서리를 통해 오랜 방황을 끝내고 원숙한 인간이 되어 가는 진통을 아름답게 표현했다. 한국의 3대천재 시인, 미당 서정주 고창에서 태어나 미당 서정주는 1915년 5월 18일 전북 고창군 부안면 선운리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고향에서 공부했고 광주학생운동으로 구속되어 퇴학까지 당했다. 193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벽'이 당선되어 등단했고, 화사집, 귀촉도, 국화 옆에서, 미당 서정주 시선집 등 시집과 국화 옆에서, 귀촉도, 문둥이, 산사꽃, 선운사, 푸르른 날 등 수많은 시를 남겼다. 서정주는 오장환, 이용악과 함께 한국의 3대천재 시인으로 불렀으나 서정주는 친일행위로 비난의 대상이 되었고 오
전남 영암 구림마을과 전북 정읍 무성마을, 그리고 전남 나주 금안리를 호남의 3대 명촌이라고 한다. 구림마을은 왕인박사, 도선국사, 최경창 등이 태어났고 무성서원에 수양대군이 단종을 폐위하자 낙향한 정극인을 배향했다. 전남 나주시 노안면 금안리는 금성산 자락이 마을을 좌청룡 우백호로 둘러싸고 있고, 멀리 영산강이 동네 앞으로 흘러간다. 희대의 변절자 신숙주가 태어난 곳이다. 변절자는 절개나 주의, 주장 따위를 바꾸거나 저버린 사람을 말한다. 신숙주의 전라도 나주 출신으로 변절의 상징인 숙주나물이 되었다. 세조가 죽음을 앞두고 세종, 문종, 단종을 변신한 신숙주에게 '당태종에게는 위징, 나에게는 신숙주' 라고 극찬했다. 변절자도 반역자에게는 영웅일 것이다. 1980년 민주화의 봄에 계엄령 해제를 요구하며 수많은 시민들이 서울역에 모였다. 하지만 서울대 총학생회장 심재철이 군부에 쿠데타의 빌미를 줄 수 있으므로 퇴각하자는 주장하여 서울역회군이 일어났다. 그리고 5.18 학살이 자행됐다. 심재철은 광주 출신으로 '김대중으로부터 20만원을 받아 시위에 사용했다' 라고 발언하여 김대중을 사형선고를 받게 하였다. 심재철은 변절하여 한나라당부터 미래통합당까지 5선 국회의
한 아름 가슴에 살포시 담을 수 있는 친구들이 있다는 건 아주 큰 행복입니다. 봄이 오면 파릇 파릇 솟아나는 새싹에서~ 여름엔 푸르름과 뜨거운 햇빛~ 천사 같은 어린 친구가 햇님이 뜨거운 건 햇님이 너무 화가 났기 때문이라고 말해 주었습니다. 가을엔 노랗게 노랗게 그리고 빨갛게 빨갛게 물드는 단풍잎들~~ 그리고 겨울엔 펑펑 내리는 함박눈속에서의 설레임~~ 작고 소소한 일상속에 특별함이 있습니다. 지혜로운 사람들은 그 특별함을 절대 놓치지 않으며 잘 가꾸어 나갑니다. 우리 나라 말의 아름다움을 찾아 봅니다. 「사」랑한다는 말 한마디 보다 말하지 않아 더 빛나는 것이 '믿음' 입니다. 말 한마디 보다 더 큰 건 행동입니다. 수 없이 말은 하지만 행동은 말과 다르면 우리는 실망을 하게 됩니다. 실망을 하게 되면 믿음은 점점 사라지게 되며 사라진 믿음은 다시 회복하기 힘들기에 우리는 포기를 하게 됩니다. 좋은 것을 보는 것은 눈이 우리에게 주는 선물입니다. 환하게 미소짓는 것은 얼굴이 우리에게 주는 선물이며 사랑스런 말소리는 입이 우리에게 주는 선물입니다. 자신을 낮추어 인사하는 것은 몸이 우리에게 주는 선물이며 착한 마음씀은 마음이 우리에게 주는 선물입니다. 이렇
송시열(宋時烈)은 충청도 옥천 출신으로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이며 노론의 영수이다.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했고, 효종, 현종 두 국왕의 세자 시절의 스승으로 송자(宋子)라는 존칭을 받았다. 아버지인 송갑조와 김장생, 김집 부자에게 수학했다. 송시열은 성리학의 대가이자, 송자(宋子)라고 존칭 받은 대학자(문신, 성리학자, 철학자, 사상가, 정치인, 시인, 서예가, 교육자, 작가)로 당색은 서인, 분당 후에는 노론의 영수였다. 본관은 은진(恩津)이다. 이언적, 이이, 이황, 김집, 박세채와 함께 학자로서 최고 영예인 문묘에 배향 되었고, 사후에는 신하로서의 최고 영예인 종묘에도 함께 종사 되었으니, 은진송씨는 6대 국반(國班) 중 하나이다. 송시열은 병자호란 직후 낙향하여 학문 연구에만 전념했다. 효종이 즉위하자 춘추대의에 근거하여 북벌을 위한 복수설치(復讐雪恥)를 주장했다. 송시열은 효종이 인조의 차남이라는 주장으로 1차 예송논쟁에서 승리했고 2차 예송논쟁에서 패배했다. 송시열은 기사환국으로 함경도 덕원으로 유배되어 제주도에 이배됐다. 국문을 받기 위해 한양으로 돌아오던 길에 정읍에서 사약을 받아 사망했다. 그의 후손 중 손자 주석(疇錫)은 숙종9년
조헌(趙憲)은 경기도 김포 출신의 문신이자 의병장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평안도 정주의 향교 교수로 재임하며 풍속을 일신했다. 질정관(質正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출신을 따지지 않고 인재등용을 청하는 동환봉사(東還封事)를 내놓았다. 조헌은 선조가 불공을 올리자 간언했고 정여립을 비난하다가 파면됐다. 단종의 후사(後嗣)를 세우고 사육신의 정문(旌門)을 세울 것을 요구하여 파면됐다. 왜군을 대비할 비책을 상소했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호서지방에서 최초로 의병을 일으켰다. 조헌은 승병장 영규와 함께 청주성을 탈환했고 금산에서 7백 의사와 함께 전사하여 칠백의총(七百義塚)에 묻혔다. 현종 때 조헌의 위패를 모신 사당을 우저서원(牛渚書院)으로 사액됐다. 영조 때 영의정으로 추증됐고 고종 때 문묘에 종사됐다. 송준길(宋浚吉)은 한성부에서 태어난 문신으로 이이를 사숙했다. 김장생, 김집 부자의 문하에서 수학했고 예학(禮學)의 종장(宗匠)으로 김장생과 쌍벽을 이루었다. 소현세자가 의문의 죽임을 당하자 세손의 계승권을 주장하여 인조의 미움을 받았다. 송준길은 관직에 나가지 않고 학문 연구에 집중하다가 봉림대군과 인평대군을 가르치는 세자사부가 되었다. 효종이 즉위하자 대사헌,
"추석"은 가을 달빛이 가장 아름다운 저녁입니다. 소박하고 따뜻하며 사랑과 평화가 가득한 한가위 잘 보내셨죠^^ ‘행복이란 하늘이 파랗고 드높은 걸 발견하는 만큼이나 쉬운 일이다’ 라고 요슈타인 가이더는 말했습니다. 우리가 살면서 놓치기 쉬운 것들,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앞만 보고 달렸던 삶을 잠시 멈추고 숨 한 번 크게 쉬며 삶의 중요한 순간, 행복한 순간들의 풍경을 느끼며 담는 여유로운 마음으로 한 발자욱! 한 발자욱! 나아갑니다. ‘행복을 아는 사람은 남의 말을 하지 않으며 쉽게 화를 내지 않고 자신의 얘기를 전하기보다 남의 말에 귀 기울일 줄을 아는 사람이기에 행복을 가꾸는 일에 있어 금을 욕심내기보다 한권의 책을 더 가질 것이다’ 김영오님의 "행복을 아는 사람은" 중에 한 구절입니다. 빛의 천사 헬렌켈러는 자신에게 3일동안 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첫째 날은 가르쳐 주신 설리반 선생님을 보고 산으로 올라 가 아름다운 꽃과 풀과 빛나는 노을을 보고, 둘쨋 날은 새벽 먼동이 트는 걸 보고 저녁엔 반짝거리는 밤 하늘의 별을 보며, 셋쨋 날은 아침 일찍 출근 하는 이들의 활기찬 표정을 보고 점심 땐 영화를 보며 저녁엔 화려한 네온싸인과 쇼윈도우의 상
인면수심(人面獸心)의 탈을 쓴 의원들을 기억하자! 이른 아침 원고를 마치고 송고할 즈음 이재명 대표의 구속 기각 소식이 보여 기쁜 소식을 먼저 전한다. 그렇지만 지난 일주일 간의 정가의 소용돌이를 한번 되새겨 볼 필요가 있어 글을 송고하기로 하였다. 한 가정의 가장(家長)이 허물어져 간 가산을 일으켜 세우려고 몸부림치다가 쓰려졌다. 가장은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도중 막되어 먹은 아들 하나가 입원 중인 아버지께 찾아왔다. 그 아들은 아버지께 재산의 일부를 떼어달라고 압박하면서 ‘내 몫을 주지 않으면 치료를 제대로 받을 수 없게 하겠다’ 고 압박을 한 사건이 진실이라면 이런 자(者)를 뭐라고 할까요? 이런 자(者)는 인면수심의 탈을 쓴 ‘인간’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위와 비슷한 일이 지난 9월 21일 국회 회의장에서 일부 민주당 의원들이 추태를 부린 사건과 유사하다. 그날은 이재명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국회에 접수되어 본회의 의결을 실시한 날이다. 이재명 대표는 지난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 이낙연 후보가 ‘대장동 사건’의 의혹을 제기한 이후 검찰에서 사건을 인지하고 2년여 기간에 걸처 350여 차례의 압수수색을 벌였지만 아직까지 특별한 증거는 없다
영암군 곤이종면(昆二終面)은 일제 강점기에 서쪽의 영산강에 접하고 있다하여 서호면(西湖面)으로 개칭했다. 산골정은 가미카제를 뜻하는 신풍(神風)으로 변경하고, 장복골을 려몽연합군을 물리쳤다는 뜻으로 영풍(靈風)으로 변경하여 쌍풍리(雙豊里)라고 하였다. 산골정은 500년 역사를 자랑하는 이천서씨의 소호종가(蘇湖宗家)이다. 산골정은 큰 동네와 작은 동네로 나누어졌다. 작은 동네는 산골정에서 혼인을 하면 새로 살림을 내어주어 새로 생긴 터라는 뜻에서 새터마을이라 한다. 설날 아침이면 형제들끼리 모여서 큰집, 작은집 등 대소가(大小家)에 세배를 다닌다. 산골정은 모두가 친척이 되기 때문에 10촌 이상의 먼 집안은 다음날 세배를 다녔다. 당숙에게 세배 중에 다음 형제들이 들어오면 거기서 세배를 하기도 한다. 세배를 하면 점심 되기 전에 한잔 한잔 마시던 술에 취하기도 한다. 물론 음식을 잘하는 집에서만 술을 마시고 음식을 먹는다. 문산 댁은 회갑이 넘어서 집안 어르신에게 떡국을 끓여 세배하러 다니는 것을 마쳤다. 추석날은 성묘를 다녀와서 송편이나 광을 싸가지고 대박산에 올랐다. 대박산에 올라가면 월출산 천왕봉은 물론 유달산과 영산강이 한눈에 보인다. 대박산에는 호랑이